광고닫기

광주 쓰레기소각장 ‘위장전입 의혹’ 사실로 밝혀져…입지 선정 무효되나

중앙일보

2025.09.01 23:46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광주광역시는 2030년부터 시행하는 가연성 생활 쓰레기 직매립 금지 조치에 대비해 하루 처리량 650t 규모의 쓰레기 소각장(광역자원회수시설)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사진은 광주시 자원회수시설 입지선정위원회가 최적 후보지로 선정한 광산구 삼거동 산 77-9번지 일대 모습. 연합뉴스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들어설 예정인 쓰레기소각장(광역자원회수시설) 입지 선정 과정에서 위장 전입이 이뤄진 정황이 경찰 조사 결과 드러나 사업 추진에 난항이 예상된다.

광주 광산경찰서는 2일 “지난해 광산구 삼거동 광주시립제1정신요양병원 등 소각장 예정 부지 일대에 허위로 주민등록 주소지를 이전하는 등 위장 전입을 한 혐의(주민등록법 위반 등)로 A씨 등 12명을 검찰에 불구속 송치했다”고 밝혔다. A씨 등은 또 공무원의 착오를 유도해 직무집행을 방해한 혐의(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도 받고 있다.

경찰은 “광주제1정신요양병원에 대한 압수수색과 현장 조사, 참고인 진술 등을 통해 A씨 등이 이전한 주소에 실제 거주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당초 해당 부지는 주민 88세대 중 48세대(54%)가 사업에 동의하면서 최소 자격 요건을 갖췄다. 소각장 입지 선정은 부지 인근 300m 이내 거주하는 주민등록상 세대주 50% 이상이 동의하는 것을 전제로 추진돼왔다.

하지만 삼도소각장 유치 선정 반대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5월 “소각장 선정을 위한 위장 전입 가구주로 의심되는 이들이 있다”고 의혹을 제기하며 경찰에 고발장을 제출했다.

광주광역시는 2030년부터 시행하는 가연성 생활 쓰레기 직매립 금지 조치에 대비해 하루 처리량 650t 규모의 쓰레기 소각장(광역자원회수시설)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사진은 광주시 자원회수시설 입지선정위원회가 최적 후보지로 선정한 광산구 삼거동 산 77-9번지 일대 모습. 연합뉴스
광주시 안팎에선 “위장 전입자 12명을 제외할 경우 최소 자격 요건을 갖추지 못한 탓에 입지 선정이 백지화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소각장 유치 선정 반대 측은 “당장 소각장 입지 선정을 무효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국강현 광주 광산구의원은 “수천억 원이 들어가는 공익시설 건립 사업은 꼼꼼하고 투명하게 진행돼야 하지만 불투명하게 사업을 추진한 결과가 나타난 것”이라며 “광주시는 당장 사업을 취소하고 주민들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시는 오는 2030년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조처에 대비해 하루 650t 규모의 소각장 건립을 추진 중이다. 당초 올해 입지 선정을 마무리한 뒤 내년 기본계획 수립, 타당성 조사 등을 거쳐 2027년 착공해 2030년 준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에 대해 광주시 관계자는 “주소지에서 잠을 자지 않더라도 출퇴근을 하는 등 법적 요건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파악돼 소각장 건립 사업을 계속 추진할 방침”이라며 “아직 최종 결론이 난 것이 아닌 데다 향후 검찰 조사 단계 등에서 다른 판단이 내려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황희규([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