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제조업 '트럼프 관세 충격'에 따른 무급휴직 급증
5월 중순 400명→8월 말 3천명…"내수로 '무급휴직 쓰나미' 우려"
(타이베이=연합뉴스) 김철문 통신원 = 대만 제조업체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과한 상호관세의 충격으로 무급휴직이 증가세를 보인다고 연합보 등 대만언론이 2일 대만 노동부 통계를 인용해 보도했다.
노동부에 따르면 이달 1일 기준 제조업 전체 무급휴직자는 191개사, 4천479명으로 집계됐으며 이 가운데 미국 상호관세의 충격에 따른 무급휴직 사례는 118개사, 3천55명이다.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전쟁에 직접 영향을 받은 무급휴직자는 지난 5월 16일 400명이 발생한 데 이서 6월 1일 827명으로 급증했고, 6월 16일 집계에서는 1천189명을 기록해 1천명을 넘겼다.
이후 7월 16일과 8월 1일 조사에서는 각각 1천236명, 1천417명을 기록해 상대적으로 완만한 증가세를 보였다.
그러나 8월 초 대만에 상호관세 20%가 부과된 여파로 8월 18일 조사에선 2천388명으로 급증했으며 9월 1일에는 3천55명까지 치솟았다.
한 소식통은 최근 무급휴직 실시를 발표한 기업 중에는 드릴을 생산해 북미에 수출하는 중견 기업도 포함됐다고 전했다.
우다런 대만중앙대 경제학과 교수는 대만 공구 제조업체의 주요 경쟁상대인 일본의 관세(15%)보다 대만의 관세(20%)가 높아 경쟁력을 대폭 상실했다고 설명했다.
우 교수는 또 하반기 실업률이 대폭 상승하면 내수 소비가 위축되고, 이에 따른 내수 부문에서도 무급휴직이 늘어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추다성 대만 동해대 경제학과 겸임교수는 대만의 무급휴직 증가 속도가 예상보다 매우 빠르다면서 '무급휴직 쓰나미'의 출현 여부를 앞으로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