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개도국들, 이자 부담에 달러빚 줄이고 위안화·유로로 환승"

연합뉴스

2025.09.02 00:2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개도국들, 이자 부담에 달러빚 줄이고 위안화·유로로 환승"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 미국 기준금리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일부 개발도상국들이 이자 부담을 줄이려 미 달러화 부채를 위안화나 스위스프랑 등 저(低)금리 통화 대출로 갈아타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일 보도했다.
최근 이 같은 움직임에 합류한 국가들은 케냐, 스리랑카, 파나마 등이다.
케냐 재무부는 지난달 미 달러화로 된 50억달러(약 6조9천500억원) 규모의 대출을 위안화로 상환하는 방안을 중국수출입은행과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철도 사업을 위해 빌린 돈이 국가 재정을 짓누른다는 이유에서다.
스리랑카의 아누라 디사나야케 대통령도 지난달 의회에 2022년 채무불이행(디폴트) 사태로 중단된 주요 고속도로 프로젝트를 완공하기 위해 위안화 대출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파나마의 경우 지난 7월 거의 24억달러 규모의 돈을 스위스프랑으로 대출받았다.
이 나라 재무장관은 이를 통해 달러화 대출을 이용할 때보다 이자 비용을 2억달러 이상 줄였다며 이 같은 조치가 재정 적자를 억제하고 국가신용등급이 정크 수준으로 떨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4.25∼4.5%로 다른 주요국의 기준금리보다 크게 높은 수준이다.
반면 스위스 중앙은행인 스위스국립은행(SNB)은 지난 6월 기준금리를 0%로 내렸고, 중국의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7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레포) 금리는 1.4%다.
스리랑카 콜롬보에 있는 프런티어 리서치의 틸리나 판두와왈라는 "위안화로 전환하는 이유는 자금 조달 비용 때문일지도 모른다"면서 2010년대 중국의 일대일로 사업 대출 다수는 달러로 이뤄졌다고 지적했다. 당시만 해도 달러화 이자율은 지금보다 훨씬 낮았다.

FT는 위안화나 스위스프랑 같은 통화로 대출을 받으면 달러화 채권을 쓸 때보다 크게 낮은 이율에 차입을 할 수 있다고 짚었다.
다만 위안화 대출을 확대하려는 중국의 노력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미 존스홉킨스대 중국-아프리카 리서치 이니셔티브의 황유판 연구원은 "위안화 금리가 낮은 지금도 많은 채무국들이 주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들이 수출대금을 위안화나 스위스프랑으로 받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이런 통화로 대출을 받을 때는 파생상품을 통해 환율 위험에 대한 헤지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콜롬비아도 이런 흐름에 동참하는 기류다. 지난주 일부 글로벌 은행들은 스위스프랑 대출을 통해 콜롬비아 정부의 국채를 할인된 가격에 사겠다고 제안했다.
신흥 시장의 기업들도 올해 들어 유로화로 된 회사채 발행을 늘리면서 7월까지 발행액이 역대 최대인 2천390억달러(약 332조원)로 집계됐다.
다만 이처럼 다른 통화를 이용한 대출이 이자 비용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되겠지만 장기적으론 규모가 큰 달러화 채권 시장에 대한 접근을 대체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신흥시장 채권펀드 매니저는 "정책 당국자들이 달러화 시장에 다시 접근할 수 있도록 개선을 이루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성호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