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연합뉴스) 김계연 특파원 = 지난달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 소비자물가가 1년 전에 비해 2.1% 오른 것으로 유럽통계기구 유로스타트가 2일(현지시간) 잠정 집계했다.
유로존 물가상승률은 지난 5월 1.9%까지 떨어졌다가 6·7월 각각 2.0%를 기록하며 소폭 반등하는 추세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문가 예측치를 0.1%포인트 웃돌았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주류·담배를 제외한 근원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3%로 7월과 같았다.
작년 하반기부터 물가 안정에 기여한 에너지 가격은 하락 폭이 올해 5월 3.6%에서 지난달 1.9%까지 줄었다.
ECB는 지난 6월 경제전망에서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목표치인 2.0%에 안착하고 내년은 1.6%로 떨어질 걸로 내다봤다. 그러나 미국 관세와 유로화 강세, 유럽 각국의 국방비 증액 등이 물가에 미칠 영향에 대한 관측은 다소 엇갈린다.
ECB 인사들은 일단 오는 11일 통화정책회의에서 정책금리를 동결하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
ECB 실세이자 매파(통화긴축 선호)로 분류되는 이자벨 슈나벨 집행이사는 이날 로이터통신에 "관세가 전체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고 여전히 믿는다"며 "우리는 이미 다소 완화적 정책 기조에 있어 현재 상황에서 추가로 금리를 내릴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반면 올리 렌 핀란드 중앙은행 총재는 최근 현지 매체 인터뷰에서 유로화 강세와 에너지 가격 하락 등을 근거로 "인플레이션 하방 위험이 더 많다"고 말했다.
마르틴 코허 오스트리아 중앙은행 총재는 "현재 금리 수준에 대해 의견이 엇갈린다"며 "앞으로 몇 주간 신중을 기하자는 일부 위원 의견에 동의한다"고 말했다.
ECB는 지난해 6월부터 1년간 8차례에 걸쳐 정책금리를 2.00%포인트 내리고 지난 7월에는 동결했다.
시장에서는 ECB가 이달과 다음달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하고 12월에나 한 차례 인하할 걸로 예측하고 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계연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