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美 관세 피해기업에 내년까지 267조 금융지원…정책·민간 총동원

중앙일보

2025.09.02 17:47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인천 연수구 인천신항 컨테이너 터미널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뉴시스

정부가 미국의 관세 조치로 어려움을 겪는 국내 기업들을 위해 내년까지 267조원 규모의 금융지원을 추진한다. 정책금융기관과 5대 금융지주가 총동원돼 피해 최소화와 산업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금융위원회는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5대 금융지주와 정책금융기관을 소집해 ‘미국 상호관세 부과 대응 금융지원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정책금융기관은 내년까지 총 172조1000억원을 지원한다. 올해에만 63조원이 이미 집행됐으며, 지원 분야는 ▲경영애로 해소(36조3000억원) ▲수출 다변화(33조3000억원) ▲산업 경쟁력 강화(91조5000억원) ▲사업재편 기업 지원(11조원) 등 네 갈래다.

대표적으로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운영하는 ‘위기대응지원 특별프로그램’이 있다. 산업은행은 지원 대상을 관세 피해기업에서 수출 다변화 기업까지 확대하고, 한도를 10배 증액(중견 50억→500억·중소 30억→300억)하며 금리도 최대 0.5%포인트 추가 인하한다. 수출입은행도 대상을 전체 중소기업으로 넓히고, 최대 2.0%포인트 우대금리를 제공한다.

민간 금융권도 발 벗고 나선다. KB·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금융지주는 내년까지 총 95조원을 공급한다. 지난달까지 이미 45조원이 집행됐으며, 금리 부담 경감, 수출·공급망 지원, 혁신성장 지원, 대기업 상생 대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아울러 금융위와 한국자산관리공사는 1조원 규모의 ‘기업구조혁신펀드 6호’ 조성을 추진한다. 석유화학·철강·자동차·반도체·이차전지·디스플레이 등 주력 산업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 주요 지원 대상이다. 민간 투자 유인을 위해 후순위 출자 비중을 기존 5%에서 10%로 높이고, 조성액의 60% 이상을 주력 산업에 투입한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이번 금융지원은 단순 생존을 넘어 기업들이 근본적인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을 수 있도록 든든한 버팀목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재홍([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