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연합뉴스) 경수현 특파원 = 미국이 지난 5월 말 4개국 국방장관 회의 때 북한 비핵화 문제를 공동성명에 명기하는 것을 거부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3일 보도했다.
복수의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은 지난 5월 31일 싱가포르에서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를 계기로 일본, 호주, 필리핀 국방장관과 연 4개국 국방장관 회의 때 무슨 이유에서인지 북한의 비핵화 문제를 공동성명에 명기하는 데 대해 완강히 거부했다.
당시 헤그세스 장관은 중국에 대해서는 엄격한 태도를 보여 공동 성명에도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에서 보이는 중국의 위압을 지목해 비판하는 문구가 들어갔지만, 북한 문제에는 발을 들여놓으려 하지 않았다.
닛케이는 북한·중국·러시아 정상이 3일 중국의 전승절을 맞아 함께 자리를 하는 등 결속하는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꺼림칙한 조짐"이라며 "가장 큰 원인은 북한을 핵보유국이라고 단언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있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뉴클리어 파워'(Nuclear Power·핵보유국)로 지칭한 바 있다.
닛케이는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과 협상에서 비핵화를 요구하지 않고 핵 군비 관리에 응하도록 하는 거래를 목표로 할 수 있다"며 "그 경우 아시아의 긴장은 고조되고 세계의 핵 비확산 체제는 흔들리며 한국에서는 핵 보유를 바라는 여론이 한층 더 활기를 띨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또 중국과 러시아는 트럼프 대통령을 끌어들여 서방 주도의 국제 정치를 매장하고 미중러의 대국만으로 결정하는 틀을 제안할 것이라며 "그 함정에 걸리면 민주주의의 서방 제국이 주도하는 질서는 질식하고 세계는 약육강식의 정글로 향할 위험이 있다"고 예상했다.
닛케이는 "향후 생각할 수 있는 최악의 시나리오는 북중러가 트럼프 대통령을 갖고 노는 것"이라고도 우려했다.
이 신문은 북중러 정상이 한 자리에 함께한 이날 중국의 전승절은 역사의 분수령이 될 수도 있다며 북중러의 결속은 북한의 핵보유 고착화로 동북아의 안전을 위협한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중국과 러시아는 과거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6자 회담에도 참여했으나 러시아는 이미 북한의 핵 보유를 공공연히 인정하고 중국도 사실상 북한의 비핵화를 추궁하지 않는 쪽으로 전환했다는 분석이 한미일 정부에서 나온다고 전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경수현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