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中전승절] 김정은에 '의전서열 2위' 예우…펑 여사, 한국말로 "반갑습니다"(종합)

연합뉴스

2025.09.03 03:2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시진핑, 두 손 내밀어 악수…열병식서 시 주석·푸틴과 맨 앞줄서 이동 톈안먼 망루 나란히 올라 내내 시진핑 옆자리…전문가 "국빈급 예우 요구했을 것"
[中전승절] 김정은에 '의전서열 2위' 예우…펑 여사, 한국말로 "반갑습니다"(종합)
시진핑, 두 손 내밀어 악수…열병식서 시 주석·푸틴과 맨 앞줄서 이동
톈안먼 망루 나란히 올라 내내 시진핑 옆자리…전문가 "국빈급 예우 요구했을 것"

(서울=연합뉴스) 김현정 권숙희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국 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전승절)' 80주년 열병식 참석을 위해 방중한 가운데, 현지에서 최고 수준의 예우를 받아 눈길을 끈다.
3일 중국중앙TV(CCTV)에 따르면 중국 베이징 톈안먼에서 진행된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서 김 위원장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바로 앞, 마지막에서 두 번째 순서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영접을 받았다.
영접 대상의 역순으로 의전 서열이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중국이 김 위원장에게 푸틴 대통령에 이어 '의전서열 2위'에 해당하는 최고 수준 예우를 한 셈이다.
앞서 행사장 입구에서 부인 펑리위안 여사와 함께 각국 대표단을 맞이한 시 주석은 김 위원장에게 "환영한다"고 인사말을 건넸다.
특히 시 주석은 각국 정상들을 맞이할 때 제자리에 서서 한 손으로 악수했지만, 김 위원장에게는 한발 다가서면서 두 손을 내밀어 특별한 친밀감을 드러냈다. 또 김 위원장의 팔을 두드리며 친근함을 대외에 과시하기도 했다.
또 펑 여사가 김 위원장에게 한국어로 "반갑습니다"라고 직접 인사를 건네는 모습도 카메라에 잡혔다.
전 세계로 생중계되는 관영 CCTV 화면은 시 주석 내외가 김 위원장을 영접할 때 다른 외국 정상들보다 더 클로즈업했다.
CCTV는 김 위원장이 행사장에 들어서기 위해 차량에서 내리고 이동하는 장면도 다른 외빈에 비해 더 집중적으로 중계하기도 했다.
입구에서 망루로 이동할 때 김 위원장은 시 주석, 푸틴 대통령과 나란히 맨 앞줄에 섰다. 망루에 오르는 내내 시 주석 왼쪽에는 김 위원장이, 오른쪽에는 푸틴 대통령이 자리했으며 망루에 올라서도 이들은 나란히 열병식을 지켜봤다.
열병식을 지켜보면서 시 주석이 김 위원장에게 손짓을 하며 설명하는 듯한 모습도 포착됐다. 행사 내내 시 주석의 왼편을 지킨 김 위원장은 푸틴 대통령에 준하는 최고 수준의 예우를 받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열병식을 마치고 참석한 인민대회당 연회에는 시 주석, 푸틴 대통령과 함께 입장했으며, 펑 여사 왼편에 앉았다. 행사 중간에는 펑 여사와 건배하는 장면도 포착됐다.
신화통신 등 중국 관영 매체들은 행사 참석자를 전하며 푸틴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로 김 위원장의 이름을 언급했다. 이후 노로돔 시하모니 캄보디아 국왕, 르엉 끄엉 베트남 국가주석, 통룬 시술리트 라오스 국가주석 등 순이었다.
전날 김 위원장이 탄 특별 전용열차가 베이징에 도착했을 때는 중국 내 서열 5위로 알려진 차이치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와 왕이 외교부장 등 주요 간부들이 베이징역에서 직접 김 위원장을 영접했다.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 일정에는 조용원·김덕훈 당 비서, 최선희 외무상, 김성남 국제부장, 주창일 선전선동부장, 현송월 당 선전선동부 부부장 등 수행단과 함께 딸 주애와 동생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도 동행했다.
한 외교 전문가는 "중국은 국가 원수와 행정 수반을 구분했고, 엄밀히 말해 최고지도자를 더욱 각별히 예우한 것"이라면서 "입장 순서나 이동 동선을 봤을 때 김 위원장을 푸틴 대통령에 이어 의전서열 2위로 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위원장의 다자외교 데뷔 무대였던 만큼 북한도 각별한 예우를 요구했을 것이고, 그 요구가 받아들여진 결과가 이번 방중 일정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김 위원장은 연회에 참석한 뒤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푸틴 대통령과 양자 회담을 진행했다.
러시아 타스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전한 북한군에 감사를 표하며 양국 관계가 우호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사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북러 관계가 모든 측면에서 발전하고 있다면서, 북한이 러시아를 도울 수 있다면 반드시 도울 것이라고 답했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권숙희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