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크바=연합뉴스) 최인영 특파원 = 크렘린궁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서 결집한 북·중·러 정상이 '반미 작당 모의'를 했다며 불편한 기색을 드러낸 데 대해 "어떠한 음모도 꾸미지 않았다"고 일축했다.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외교정책 보좌관은 3일(현지시간) 러시아 국영방송 로시야1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세 정상이 미국에 대항할 작당 모의를 하고 있다고 주장한 것이 '아이러니'(반어적 표현)였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우샤코프 보좌관은 "아무도 (미국에 대항하는) 음모를 꾸미려 하지 않는다고 말하고 싶다. 아무도 그런 생각조차 하지 않았다. 세 지도자 중 누구도 그런 생각을 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모두가 미국과 트럼프 정부, 트럼프 대통령이 오늘날 국제 정세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이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도 트럼프 대통령이 비유적으로 말한 것이기를 기대한다며 "누구도 그 무엇에 대한 음모를 꾸미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고 타스 통신이 보도했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러시아와 중국과 북한 등 동쪽 파트너들과 관계, 그리고 상하이협력기구(SCO)와 브릭스(BRICS)와 같은 다자 형식 내 협력은 모든 참여자의 이익을 위한 것이지 누군가를 겨냥한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 나란히 참석한 것에 반감을 드러냈다.
특히 "당신들이 미국에 대항할 작당 모의를 하는 동안, 블라디미르 푸틴과 김정은에게 나의 가장 따뜻한 안부 인사를 전해달라"며 반미·반서방 결속을 다진 듯한 북·중·러 정상을 견제하는 메시지를 냈다.
러시아는 2022년 2월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을 시작한 이후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미국과 서방과 대립하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과는 지난달 15일 알래스카에서 정상회담을 개최해 우크라이나 문제를 논의하는 등 관계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최인영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