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믿었던 동지들이 성추행, 당은 외면"…강미정 혁신당 대변인 탈당

중앙일보

2025.09.03 18:51 2025.09.03 19:4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강미정 조국혁신당 대변인이 당내 성비위 및 2차 가해 사건을 고발하며 탈당했다.

강 대변인은 4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저는 오늘 당을 떠난다”며 “공감과 연대의 대가로 상처받고 모욕당한 많은 당원 동지들께 위로와 감사를 전한다”고 말했다.

강미정 조국혁신당 대변인이 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당내 성비위 의혹과 관련한 탈당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강 대변인은 이날 “검찰개혁이라는 분명한 목표가 있어 흔들리지 않았지만, 그 길 위에서 제가 마주한 것은 동지라고 믿었던 이들의 성희롱과 성추행 그리고 괴롭힘”이라며 당내 성비위와 2차 가해를 고발했다.

그는 “당내 성추행 및 괴롭힘 사건의 피해자 중 한 명은 지난 달 당을 떠났다”며 “해당 사건과 관련해 당의 쇄신을 외쳤던 세종시당 위원장은 지난 9월 1일 제명됐고, 함께 했던 운영위원 3명도 징계를 받았다”고 공개했다.

이어 “피해자를 도왔던 조력자는 ‘당직자 품위유지 위반’이라는 이름의 징계를 받고 며칠 전 사직서를 냈고 또 다른 피해자도 지금 이 순간, 사직을 준비하고 있다”며 “이것이 제가 침묵을 끊고 오늘 이 자리에 설 수밖에 없는 이유”라고 밝혔다.

강 대변인은 “당은 피해자들의 절규를 외면했다”며 “윤리위와 인사위는 가해자와 가까운 인물들로 채워져 있었고, 외부 조사기구 설치 요구는 한 달이 넘도록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그 사이 피해자들은 당을 떠나고 있다”며 “이것이 제가 더는 기다릴 수 없음을, 그리고 떠날 수밖에 없음을 확신하게 된 이유”라고 말했다.

그는 “오늘 이 목소리가 또 다른 침묵을 깨우는 시작이 되기를, 간절히 소망한다”며 “조국혁신당은 떠나지만, 우리 사회를 혁신하는 길은 결코 버리지 않겠다”고 했다.

앞서 조국혁신당 소속 한 당직자는 상급자로부터 성추행을 당했다며 경찰에 고소했다. 혁신당은 가해자로 지목된 당직자를 피해자와 분리 조치하고 직무에서 배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피해자는 조치가 미흡하다며 지도부를 비판해 왔다.

조국 조국혁신당 당시 대표가 2024년 3 12일 서울 영등포구 당사에서 열린 강미정 아나운서 입당 기자회견에서 강 아나운서에게 꽃다발을 전달하고 있다. 뉴시스

더불어민주당으로부터 탄핵당한 이정섭 대구고검 검사 처남댁으로 알려진 강미정 프리랜서 아나운서는 지난해 3월 12일 조국혁신당에 입당했다. 조국 당시 대표는 입당식에서 강 대변인을 ‘검찰개혁 완수에 큰 힘을 보탤 인물’이라고 소개했다.

강 대변인은 이 검사가 측근 마약 수사를 무마했다며 경찰에 고발한 장본인이다. 이 검사를 포함해 현직 검사들에 대한 골프장 무상 제공, 가사도우미·사기업 직원 등의 범죄기록 사적 조회, 위장전입 의혹 등을 폭로했다.

강미정 조국혁신당 대변인이 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당내 성비위 의혹과 관련한 탈당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편 조국혁신당은 강 대변인의 기자회견 후 입장문을 내고 강 대변인의 주장에 대해 해명했다.

조국혁신당은 “성비위 및 괴롭힘 사건과 관련 당헌·당규에 따라 피해자 요구사항을 모두 수용한 관련 절차를 모두 마쳤다”며 “피해자 측 요청으로 외부기관이 조사를 전담하여 진행했고, 당 외부인사로 구성된 인권특위의 점검도 받았다”고 했다. 이어 “그럼에도 사실과 상이한 주장이 제기된 점에 대해서는 유감을 표명한다”며 강 대변인의 고발 부분들에 하나씩 반박했다.

전 세종시당위원장 징계 관련 주장에 대해서는“(그가) 자신에 대한 징계를 신청하였다는 이유만으로 도당 사 무처장 및 운영위원 3인을 독단적으로 해임하는 등 당내 민주적 정당질서에 현저하게 혼란을 일으킨 바 있고, 해당 사유로 제명된 것”이라고 했다.

당의 피해지원 미흡 주장 관련해선 “피해자 측의 요청으로 국회, 경기도, 원내 정당 등의 지원 규정 등을 참조해 피해자 및 관련자 심리치료비 지원을 의결했다”고 했다. 또 '윤리위·인사위가 가해자와 가까운 인물로 채워져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오해 받을 소지가 있는 위원은 모두 절차에서 회피했다”며 “윤리위는 외부 인사가 다수인 구조이고, 이 사건은 외부인사가 책임을 맡아 진행했다”고 밝혔다.




조문규([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