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네치아 상징' 날개 달린 사자상, 알고보니 중국산?
파도바대 연구진, 동위원소 분석 통해 '사자상 구리' 중국서 채굴 밝혀내
(서울=연합뉴스) 신창용 기자 = 이탈리아 북부 수상도시 베네치아를 상징하는 '날개 날린 사자' 청동 조각상이 실제로는 중국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4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이탈리아 파도바 대학 연구진은 고고학 학술지 앤티쿼티(Anitiquity)에 게재될 연구를 통해 이 사자상의 구리가 중국 양쯔강 유역에서 채굴된 사실을 밝혀냈다.
납 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사자상에 사용된 구리 광석의 지질학적 기원을 찾아낸 것이다.
연구진은 "납 동위원소는 금속을 원래의 광석 매장지와 연결하는 신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디자인 면에서도 베네치아의 사자상은 중국 당나라 시대 진묘수(무덤을 지키는 동물상)와 흡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를 토대로 중국에서 만들어진 청동상이 베네치아로 옮겨진 뒤 뿔은 제거되고 귀가 짧아지는 등 성인 마르코를 상징하는 '날개 달린 사자'의 표준적인 모습에 맞춰 변형된 것으로 추정했다.
베네치아 중심인 산마르코 광장의 기둥 꼭대기에 잇는 날개 달린 사자상은 베네치아의 수호 성인 마르코를 표현한 것이다. 마르코가 '요한 묵시록'에 '날개 달린 사자'로 묘사됐기 때문이다.
9세기경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마르코의 유해를 베네치아로 옮겨온 이후로 마르코와 날개 달린 사자는 베네치아를 대표하는 상징이 됐다. 지금도 베네치아 국제영화제의 최우수상은 날개 달린 사자상의 모습을 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그동안 베네치아 사자상이 메소포타미아나 고대 페르시아, 그리스에서 유래했을 것이라는 기존 학설을 뒤집은 것이다.
연구 공동 저자인 마시모 비달레는 "베네치아는 미스터리로 가득한 도시지만, 한 가지는 풀렸다. 성인 마르코의 사자는 중국산이며, 실크로드를 걸어왔다"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사자상 유입 경로와 관련해서는 베네치아 출신의 상인이자 탐험가 마르코 폴로의 아버지와 삼촌이 몽골의 칸발리크(현재의 베이징) 궁정을 방문했을 때 들여온 것으로 추정했다.
다만 이는 하나의 가설일 뿐이며, 남은 연구는 역사학자들의 몫이라고 덧붙였다.
비달레는 "우리는 이 조각상이 언제 베네치아에 도착했는지, 어디에서 재작업 됐는지, 누가 재작업했는지, 그리고 오늘날까지 볼 수 있는 기둥 위에 언제 세워졌는지 알지 못한다"고 밝혔다.
가디언은 이번 연구 결과는 중세 시대 동서양의 활발한 교류와 베네치아의 광대한 무역 네트워크를 증명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신창용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