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이 윤석열 전 대통령 외환 의혹에 관해 각종 군(軍) 내부 제보를 수집해 온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4일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했다. ‘평양 무인기 투입’ 의혹에 대해서는 막바지 법리검토에 착수했다.
박 의원은 이날 오후 2시 특검팀 조사실이 차려진 서울고등검찰청 청사에 출석했다. 박 의원은 조사 전 취재진에 “어떤 것이든 답할 수 있는 부분은 최선을 다해 진술하겠다”고 말했다. 국가정보원 1차장 출신인 박 의원은 국회 정보위 간사로 윤 전 대통령 외환 의혹과 관련된 각종 제보를 수집해왔다. 특검팀은 특히 12·3 비상계엄이 선포되기 직전인 지난해 11월 말 정보사령부 요원들이 몽골에서 북한대사관과 접촉하려다가 현지에서 체포됐다는 이른바 ‘몽골 공작 의혹’에 관해 집중 조사했다.
━
평양 무인기 투입 수사 막바지
특검팀은 지난 7월 경기도 포천 소재 드론작전사령부 등을 압수수색하면서 이달로 넉 달 째 외환 의혹을 수사해왔다. 여러 의혹 중 ‘평양 무인기 투입’ 의혹은 수사가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었다. 특검팀은 주요 피의자들에 대해 적용할 혐의점을 두고 법리검토에 매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압수수색 당시 적용했던 일반이적죄 적용에 대해 검토를 거듭하고 있다.
그동안 특검팀의 수사 초점은 평양 무인기 투입이 정상적인 군사작전이었는지, 12·3 비상계엄의 명분이 될 북한의 군사 도발을 유도하는 불법 군사 행동이었는지를 규명하는 데 맞춰져 있었다.
특검팀은 불법성이 판가름 나는 지점인 ‘보고 체계 준수’ 여부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봤다. 그동안 의혹의 핵심 피의자 김용대 전 드론작전사령관은 무인기 작전이 지난해 6월쯤 계획될 때부터 10~11월 정식 작전 실행될 때까지 모두 이승오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에게 보고 했다고 진술해왔다.
하지만 김명수 전 합참의장은 지난해 6월 무인기에 전단통을 달아 비행하는 ‘전투실험’에 관한 보고는 받았지만, 무인기가 평양에 투입된다는 사실은 몰랐다는 입장이다. 평양 투입은 같은 해 9월 김용현 당시 국방부장관이 취임한 후에야 이 전 본부장에게 보고받았다고 했다.
특검팀은 김 전 의장으로의 보고가 의도적으로 누락됐고, 무인기 침투 작전은 김 전 사령관과 이 전 본부장, 그리고 계엄 주무장관인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이 주도적으로 기획한 것이라고 의심하고 수사를 해왔다. 특히 김 전 장관이 지난해 6월 16일, 당시 대통령실경호처장 신분이라 군 지휘권이 없음에도 보안 휴대전화(비화폰)로 신원식 전 국방부장관, 김 전 의장, 김 전 사령관 등과 연쇄 통화해 무인기 작전을 논의한 정황을 포착해 배경을 조사했다.
━
계엄군 의혹 9사단장 조사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지난해 3월부터 계엄 선포를 본격적으로 논의했다고 보고 있다. 이런 관점에 따라 이후에 벌어진 무인기 투입 등 군사 작전은 계엄 명분을 만들기 위함이었을 가능성을 수사해왔다. 육군항공사령부가 지난해 5~6월 아파치 무장 헬기를 동원해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을 위협 비행한 것 등이 '북풍 공작' 의혹과 연관이 있는지 조사하고 있다.
한편 특검팀은 이날 오전 박모 육군 9보병사단장을 비공개로 불러 조사했다. 9사단은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 수첩에 계엄 선포 후 야당 등의 저항이 있으면 동원한다고 기재돼 있는 부대다. 특검팀은 박 사단장에 계엄 선포 당시 부여받은 임무가 있었는지 등을 조사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