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지방정부들 잇단 부동산 부양책…오랜 침체에 효과는 미지수
구매·판매 제한 없애고 보조금도 주지만…시장둔화에 관리 대금 연체는 증가세
(베이징=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 = 중국 지방정부들이 침체한 부동산 시장을 부양하기 위해 잇따라 구매 제한 완화 조치를 내놓고 있다고 경제일보와 제일재경 등 중국 매체들이 5일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달부터 베이징과 상하이, 동부 장쑤성 쑤저우, 동북 지역 지린성 창춘 등 곳곳에서 구매 제한 완화와 판매 제한 철폐, 주택 구매 보조금 지급 등의 정책이 도입됐다.
일례로 베이징시는 지난달 초 시 외곽 주택 구매의 수량 제한을 없앴고 주택공적금(住房公積金·주택 매입을 위해 기업과 노동자가 공동 부담하는 장기 적금) 제도 개선과 구축 계약금 인하 등을 통해 매수 비용을 낮췄다.
창춘시는 지난달 말 발표한 규정에서 9월 한 달 동안 지정 지역 내 신축 부동산을 일시불로 구매하는 개인에게 주택 한 채당 1만5천위안(약 290만원)의 소비 쿠폰을 지급하기로 했다.
랴오닝성과 충칭시, 후난성 등은 '부동산 박람회' 같은 지방정부 주도 대형 행사를 통해 민간의 주택 구매를 독려하고 있다.
이를 두고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직속 관영매체인 경제일보는 "여러 정책이 힘을 내고 있고, 올해 '금구은십'(金九銀十·중국에서 부동산 거래가 비교적 활발한 9월과 10월을 일컫는 말) 부동산시장 성과가 주목된다"며 9월에는 부동산시장이 살아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하지만 중국 지방정부들의 부동산 부양책이 주택 거래 침체 추세를 되돌릴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는 관측도 있다.
시장조사업체 중국지수연구원에 따르면 8월 베이징의 구축 거래량은 1만3천331채로 7월 대비 4.28% 늘었고, 신축은 같은 기간 2천733채 거래돼 7월 대비 6.2% 증가했다.
다만 올해 8월 구축 거래량은 작년 동월에 비해서는 7.19%, 신축 거래량은 12.1% 줄어든 것이기도 하다. 수년에 걸친 부동산 시장 불안 속에 대형 개발업체들의 부실과 거래 위축, 공실 증가가 맞물린 상황이어서 더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으로 가라앉으면서 부동산 관리 업종의 체질과 전망도 나빠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은 선왕훙위안증권이 3일 발표한 리서치 보고서를 인용, 올해 상반기 중국 부동산 관리 업종의 매출채권 충당금 적립비율이 27.6%로 전년 동기 대비 6.7%포인트 상승했다고 전했다.
매출채권 충당금 적립비율은 한 기업이 '받아야 할 돈'에서 일부 떼일 가능성 있는 돈 만큼을 사전에 충당금으로 설정해둔 비율을 가리킨다.
쉽게 말해 부동산 관리 업계에서 일을 해주고도 대금을 받지 못하는 심각한 '회수 난관'에 직면한 상황임을 뜻하는 것이라고 차이신은 설명했다.
특히 올해 부동산 관리 업계에서는 최상위 기업들의 충당금 비율이 9.7%(2.4%포인트 증가)에 그친 반면, 차상위 기업들의 충당금 비율은 43.3%(10.5%포인트 증가)에 달해 업체 간 양극화 현상도 나타났다.
중국에서는 부동산 업계의 지속된 침체와 거래 상대방 리스크, 제3자 소유주 대금 지급 지연 등으로 인해 부동산 관리 업계 미수금 규모가 2021년부터 증가하고 있다.
중국 둥우증권은 올해 5월 보고서에서 "매출채권 금액 증가보다 더 긴박한 문제는 채권 연체 기간이 길어지는 것"이라며 "연체 기간이 길어지면 현금 흐름뿐만 아니라 손익계산표에도 영향을 줘 배당 능력을 제약할 수 있다"고 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성조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