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美, 우크라이나 종전시 '완충지대' 감시 주도할 수도"

연합뉴스

2025.09.05 16:2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사우디·방글라 등 나토 非회원국 군대 주둔 방안도 검토
"美, 우크라이나 종전시 '완충지대' 감시 주도할 수도"
사우디·방글라 등 나토 非회원국 군대 주둔 방안도 검토

(서울=연합뉴스) 고일환 기자 =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전쟁을 끝내고 양국 사이에 완충지대가 조성된다면 미국이 주도적으로 이 지역을 감시하는 역할을 맡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NBC뉴스는 5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이 우크라이나 종전 시 안전보장과 관련해 이 같은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현재 유럽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들이 구상하는 완충지대 조성안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사이에 40㎞ 규모의 공간을 설치하자는 내용이다.
만약 이 같은 구상이 실현된다면 미국이 드론과 위성 등 정보 역량을 동원해 완충지대를 감시하는 역할을 맡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나토 회원국이 아닌 사우디아라비아나 방글라데시와 같은 국가의 군대가 완충지대에 배치되는 방안도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러시아가 나토 회원국의 군대가 우크라이나에 주둔하는 방안을 거부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 대안으로 보인다.
또한 우크라이나에 대한 안전보장을 나토 전체가 아닌 각 회원국의 양자 협정으로 대체해 추진하는 방안도 유력하게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회원국이 개별적으로 우크라이나에 대해 안전보장을 할 경우 나토의 집단방위 조항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러시아의 반발을 누그러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날 우크라이나에서 다른 나라의 군대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 것에 대해서도 반대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모두를 위한 안전보장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크라이나도 완충지대 설치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천명한 상태다.
앞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완충지대 설치가 영토 포기를 의미하는 것이라는 이유로 반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미국은 국방부를 중심으로 우크라이나 군 지원과 방위산업 협력 방안을 논의 중이다.
1천억 달러(약 139조 원) 규모의 협력 방안은 우크라이나에 미국 무기를 지원하는 대신 미국이 우크라이나가 개발 중인 첨단 무기 시스템의 지적재산권을 확보하는 내용이 담길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최종 결정권자"라면서 현재 논의되고 있는 안전 보장책에 대해 언급을 거부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고일환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