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성욱은 서울 마포구 사람엔터테인먼트 사옥에서 OSEN을 만나 SBS 금토드라마 ‘트라이’ 종영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성욱은 ‘트라이’에서 사격부 감독 전낙균 역을 맡아 맛깔나는 악역 연기로 시청자들의 분노를 일으켰다. 얄미운 빌런 연기로 극의 몰입도는 물론, 시청자들의 짜증을 이끌며 극의 긴장감을 높이기도 했다.
처음 ‘트라이’ 대본을 받았을 땐 어땠을까. 그는 “이야기가 단순하고 밝고 희망차다는 느낌을 받았다. 이 작품을 하고 싶다는 생각이 먼저 들었고, 내 캐릭터 때문에 고민이 있긴 했다. 때리는 장면이 안 나오는데도 못됐더라. ‘이런 이미지가 쌓여도 되나?’ 걱정도 됐지만, 배우로서 이런 역할, 저런 역할을 해봐야 한다고 생각했다. 결국 ‘욕을 먹든 어떻든 전체적으로 즐겁게 나올 수 있겠다’는 생각으로 선택했다”고 밝혔다.
[사진]OSEN DB.
이성욱은 그간 악역을 많이 연기하진 않았다고. 어려움은 없었냐는 물음에 “‘트라이’ 속 전낙균은 현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캐릭터였다. 목적성이 뚜렷하고 직설적인 사람이라 크게 어렵지 않았다. 뉴스에서도 자기 잘못을 끝까지 인정하지 않는 사람이 있지 않나. 이해는 안 되지만 실제로 많다고 생각한다. 그런 부분에서 전낙균은 오히려 잘 맞는 캐릭터였다”고 했다.
다만 비슷한 시기 공개된 넷플릭스 ‘애마’ 속 최실장은 달랐다고. 그는 “평소에 자주 접할 수 없는 권력을 가진 인물을 표현해야 했다. 진선규 형과 감독님께 많이 의지하면서 연구했다”고 덧붙였다.
이성욱은 NG도 많이 냈다며 “‘트라이’는 애드리브가 많았다. 감독님이 필요 없는 부분은 빼주시고, 현장에서 즉흥적으로 살리는 부분도 많았다. NG는 주로 웃다가 났다. 세미도, 요한이도 잘 웃어서 분위기가 밝았다. 애드리브 아이디어를 주고받다가 웃음이 터져서 난 적도 많았다”고 설명했다.
악역 연기로 호평을 받은 만큼, 앞으로 보여줄 캐릭터에도 기대를 모으는 가운데 이성욱은 “악역은 더 해보고 싶다. 최 실장도 징글징글한 역할이었지만, 아예 잔인한 악역도 도전하고 싶다. 선역, 악역을 가리지 않고 대본을 읽고 도전할 만한 역할이라면 계속 해보고 싶다”고 말했다.
두 캐릭터에서 현실과의 격차도 있었냐는 물음에 “전낙균을 연기하면서 분명 내 안에 있는 부분이 반영됐다. 화를 낼 때는 내 모습도 있었지만, 삶을 대하는 태도는 많이 다르다. 나는 오히려 이상주의자라고 생각한다. 과정 자체를 중시한다. 현실에서의 나는 정의로운 편이다. 다만 그 정의를 위해 소리를 크게 낼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트라이’ 속 가장 닮은 캐릭터에 대해 “배이지(임세미 분)와 닮았다고도 생각했지만, 가만히 보니 정순원 배우가 연기한 방흥남과 닮지 않았나 싶다. 노력은 노력대로 하지만 크게 나서지는 않는 그런 모습이 현실의 나와 가깝다”고 덧붙였다.
‘트라이’는 청춘들의 성장을 그린 작품이었지만, 그만큼 좋은 어른들에 대한 이야기도 하는 드라마였다는 반응이 많았다. 이성욱이 생각한 ‘좋은 어른’은 무엇일까.
그는 “지금 시대도 그렇고, 예전도 그렇고 ‘어른다움’을 가진 어른이 많지 않은 것 같다. 인간이 욕심을 가지다 보니 그렇다. 주가람이나 교장 선생님은 너무 이상적이다. 이상적인 사람들과 현실적인 사람들은 섞일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그래야 균형이 맞는다. 그래도 전낙균처럼 자기만 생각하는 어른은 되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이야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