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곰팡이 천지에 벌레 득실" 악명높은 그곳에 한국인 300명 수감

중앙일보

2025.09.06 19:39 2025.09.07 01:04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미국 이민 당국에 의해 구금된 한국인 300여명이 수용된 시설이 열악한 위생 환경으로 논란이 일었던 곳으로 확인됐다.

지난 4일(현지시간) 미 이민세관단속국(ICE)은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불법 체류자 단속을 벌여 475명을 체포·구금했다. 이 가운데 300여명은 한국인으로 파악됐다. 이들 대부분은 현재 포크스턴 구금 시설에 수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곳 구금시설 공식 명칭은 구치소가 아닌 처리센터(Processing Center)다. ICE가 체포한 외국인의 체류 신분과 혐의 등을 조사하고 추방을 비롯한 처리 방침을 결정할 때까지 구금해두는 장소다. 이곳은 사설업체인 GEO 그룹이 소유 및 관리한다. 수용 가능 인원은 약 1100명이지만 과밀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이민 당국에 체포된 한국인 300여명 중 대부분이 수감된 미국 조지아주 포크스턴의 이민세관단속국(ICE) 시설의 샤워장. 이 사진은 2021년 11월 진행된 미국 국토안보부(DHS)의 감사 당시 촬영됐다. 美 국토안보부= 연합뉴스
미국 이민 당국에 체포된 한국인 300여명 중 대부분이 수감된 미국 조지아주 포크스턴의 이민세관단속국(ICE) 시설. 싱크와 변기에서 물이 새고 있다. 이 사진은 2021년 11월 진행된 미국 국토안보부(DHS)의 감사 당시 촬영됐다. 연합뉴스
미국 이민 당국에 체포된 한국인 300여명 중 대부분이 수감된 미국 조지아주 포크스턴의 이민세관단속국(ICE) 시설. 곰팡이로 까매진 환기구와 누수 피해를 입은 천장이 보인다. 이 사진은 2021년 11월 진행된 미국 국토안보부(DHS)의 감사 당시 촬영됐다. 美 국토안보부=연합뉴스

포크스턴 구금 시설은 과거 국토안보부(DHS) 감사실의 불시 검사에서 열악한 환경을 지적받았다.

감사실의 지난 2022년 6월 보고서에 따르면 이곳은 2021년 11월 16∼18일 진행한 불시 검사에서 수감자의 건강, 안전과 권리를 훼손하는 위반 행위가 다수 적발됐다.

보고서는 “찢어진 매트리스, 누수, 고인 물, 곰팡이, 낡은 샤워 시설, 환기 시스템에 곰팡이와 잔해, 만연한 벌레, 뜨거운 물이 부족한 샤워, 작동하지 않는 변기, 주방 냉동고의 고장 난 온도계, 따뜻한 식사의 부재”를 지적했다. 또 수감자에게 부적절하게 수갑을 채우고, 수감자의 소유물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았다. 이외 시설 의료 직원은 수감자를 위한 특수 진료나 충분한 정신건강 치료를 적시에 제공하지 않았다. 수감자의 고충이나 요청에도 대응이 없었다.

6일(현지시간) 미국 당국의 이민단속으로 체포된 현대차-LG엔솔 배터리공장 건설 현장 직원들이 수감돼 있는 있는 조지아주 포크스턴의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시설. 연합뉴스
6일(현지시간) 미국 당국의 이민단속으로 체포된 현대차-LG엔솔 배터리공장 건설 현장 직원들이 수감돼 있는 있는 조지아주 포크스턴의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시설. 연합뉴스

이후 감사실은 ICE가 감사실의 개선 권고를 대부분 수용했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이 곳 시설의 생활 환경이 어느 정도 개선됐을 것으로 추정하지만, 이후에도 지역 인권단체들은 우려를 제기해왔다.

지난해 4월에는 불법 입국으로 체포된 인도 국적자 자스팔싱이 포크스턴에 수감됐다가 사망하면서 의료 대응이 미비했던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이와 관련 ICE 자체 검토 보고서는 “시설 의료 서비스가 안전 한계를 벗어나 사망에 직접적으로 기여했다”고 결론 내렸다.

한편 조지아주 애틀랜타 소재 인권단체 ‘정의 구현을 위한 아시아계 미국인’(AAAJ)은 전날 성명을 통해 이번 단속을 비판하면서 포크스턴의 “비인간적인 여건과 위반 행위”를 지적했다.



조문규([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