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우리 기업의 성장을 뒷받침하는 기술사업화 총괄부처의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 2000년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이하 기술이전법) 제정 이후 산업부는 공공기술의 민간 이전과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며 기술사업화의 중심축을 담당해왔다.
━
작년까지 36만건 기술정보 기업에 제공
산업부의 지원정책은 초기부터 기술 이전의 기반을 다지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2001년 출범한 국가기술은행(NTB)은 공공 연구개발(R&D) 성과물의 기술정보를 수집·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으로, 2024년까지 총 36만여 건의 기술정보를 기업에 제공했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연구개발 성과를 손쉽게 확인하고 필요한 기술을 신속히 도입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했다.
또한 2013년 도입된 ‘기술나눔’ 제도는 대기업과 공공기관이 보유하고도 활용하지 않는 기술을 중소·중견기업에 무상으로 이전하는 정책으로, 현재까지 3818건의 기술이전 성과를 냈다. 산업 현장에서 기술 접근성을 크게 높인 대표적 제도라는 평가다.
여기에 더해 산업부는 기술거래와 사업화, 평가를 전문기관이 수행하도록 한 ‘기술중개 지원체계’를 운영하며 기술거래 활성화를 도모해왔다. 2024년 기준 기술거래 4509건, 사업화 지원 867건, 기술평가 3만여 건을 달성했다.
최근에는 자금 조달과 스케일업 지원에도 주력하고 있다. 2023년부터는 대·중견기업과 중소기업 간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CVC(Corporate Venture Capital) 펀드’를 조성, 현재까지 7개 펀드(3678억원 규모)를 운용하고 있다.
2021년부터는 우수 연구개발 성과물의 상용화를 촉진하기 위한 ‘스케일업 기술사업화 프로그램’을 시작해 컨설팅, 투자유치, 사업화 R&D까지 종합 지원하고 있으며, 2028년까지 총 1229억원 규모로 추진된다.
이 같은 정책적 뒷받침 속에 우리나라의 기술사업화 성과는 꾸준히 확대됐다. 매년 약 1만2000건의 공공기술이 기업에 이전되고 있으며, 2023년 기준 공공기술 기반 창업 누적 건수는 2873건에 달한다. 또한 정부 R&D를 활용한 사업화 실적은 3만1598건을 기록하며 3만 건을 넘어섰다.
━
성과 확산, 시장 창출 등 선순환 구조 강화
산업부는 앞으로도 기술사업화를 위한 생태계 조성-성과 확산·시장 창출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선순환 구조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3월 출범한 범부처 컨트롤타워 ‘기술사업화 얼라이언스’를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공공·민간의 우수 기술이 실제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기술사업화 전주기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특히 기존 공공연구기관 등 공급자 중심의 기술 이전 방식에서 벗어나 기업 수요를 반영한 시장 중심(Market-Pull) 기술사업화를 본격화한다. 기업이 필요로 하는 기술을 우선 발굴하고, 이를 개발할 연구자를 매칭해 맞춤형 R&D를 지원하는 방식이다.
현재 진행 중인 ‘기업수요기반 차세대연구자 도전혁신 산업기술개발 사업’이 그 첫걸음이다. 중소·중견기업의 기술 애로를 조사해 이를 해결할 기업과 신진 연구자를 연결하는 구조로, 높은 경쟁률 속에 큰 관심을 모았다. 산업부는 내년부터 연구자의 범위를 대기업과 공공연구기관까지 확대해 중소·중견기업(수요)-대기업·공공연(공급) 간 협력모델을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산업부는 기술사업화가 국내에서 머무르지 않고 해외시장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글로벌 전략도 강화한다. 신산업 분야의 사업화 확대와 기술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 같은 계획은 ‘제9차 기술이전·사업화 촉진계획’에 반영돼 발표될 예정으로 ▶기술사업화 생태계 조성 ▶시장 중심 성과확산 체계 구축 ▶신시장 및 글로벌 진출 지원 기반 마련 등 종합 대책이 포함된다.
오승철 산업기반실장은 “산업부는 기술사업화 총괄부처로서 우리 기업 성장의 든든한 디딤돌 역할을 해왔다”며 “앞으로도 사업화 현장의 목소리와 기업 수요를 적극적으로 반영해 시장 중심의 기술사업화 성과 확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