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연합뉴스) 김지연 특파원 = 영국 정부가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이 대량학살(제노사이드)을 자행하는 게 아니라고 평가했다고 영국 일간 더타임스와 스카이뉴스가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데이비드 래미 부총리는 외무장관이던 이달 1일 세라 챔피언 하원 국제개발위원장의 질의에 대한 답변서에서 "대량학살 범죄는 한 국가나 민족, 인종, 종교 집단 전체 또는 일부를 말살하려는 특정 의도가 있을 때만 발생한다"며 "정부는 이스라엘이 그런 의도를 갖고 행동하고 있다고 결론 내리지 않았다"고 밝혔다.
앞서 챔피언 위원장은 영국이 F-35 전투기 부품을 이스라엘로 간접 전달되게 하는 현재의 정책이 대량학살을 방지해야 하는 국제적 의무에 부합하는 것인지 등을 정부에 질의했다.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벌이는 군사작전으로 대규모 민간인 사상이 발생하고 있지만 이스라엘은 자국을 공격한 무장정파 하마스 격파와 자국민 구출을 위한 것일 뿐 특정 민족을 말살하려는 대량학살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국제사법재판소(ICJ)에서 대량학살 혐의를 받고 있고 대표적인 전문가 집단인 국제대량학살학자협회(IAGS)도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자행하는 행위가 유엔 협약에서 명시한 대량학살 정의에 부합한다는 결의를 채택했다.
페드로 산체스 스페인 총리는 최근 이스라엘행 무기를 선적한 선박과 항공기의 자국 진입을 금지하는 등 이스라엘에 대한 강경 조치를 발표하면서 "대량학살을 멈추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래미 부총리는 대량학살이라는 결론을 내리지 않았다면서도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의 행태를 비판했다.
그는 "가자지구에서 여성과 어린이를 포함한 높은 민간인 사상, 광범위한 파괴는 정말 끔찍한 일"이라며 "이스라엘은 이 전쟁이 야기하는 고통을 방지하고 완화하기 위한 일을 훨씬 더 많이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영국은 앞서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상황을 멈추기 위한 노력을 충분히 하지 않으면 이달 열리는 유엔 총회에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겠다고 경고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지연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