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인도네시아 vs 한국? 50대 50 접전"...'5실점 대패' 마카오 U-23 감독의 분석 "매우 치열한 경기 예상한다"

OSEN

2025.09.09 04:19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사진]OSEN DB.

[사진]OSEN DB.


[사진]OSEN DB.

[사진]OSEN DB.


[OSEN=고성환 기자] "인도네시아와 한국? 50대50으로 매우 치열한 접전이 펼쳐질 것."

인도네시아와 한국 축구를 모두 겪어본 마카오 23세 이하(U-23) 축구대표팀 감독이 두 나라의 플레이 스타일과 실력이 비슷하다고 평가했다.

인도네시아 '오케이존 볼라'는 7일(이하 한국시간) "케네스 �o카록 마카오 감독이 인도네시아 U-23 대표팀과 한국의 강점을 비교했다. 두 팀 모두 2026 아시아축구연맹(AFC) U-23 아시안컵 예선에서 마카오 대표팀에 패배를 안겼다"라고 보도했다.

마카오는 지난 6일 인도네시아 겔로라 델타 스타디움에서 열린 대회 2차전에서 인도네시아에 0-5로 패했다. 레옹 레크 한이 경기 시작 3분 만에 자책골을 기록하며 최악의 방식으로 출발했고, 후반에만 3골을 내리 허용하며 무릎 꿇었다.

한국전과 같은 결과다. 마카오는 이민성 감독이 이끄는 한국 U-23 대표팀과 만났던 1차전에서도 0-5로 대패한 바 있다. 당시 정재상이 멀티골을 터트렸고, 박승호와 강성진, 서재민이 한 골씩 보탰다.

[사진]OSEN DB.

[사진]OSEN DB.


이제 한국과 인도네시아는 조 1위 자리를 걸고 운명의 최종전을 치른다. 현재 한국은 라오스도 7-0으로 격파하며 2승으로 조 1위에 올라 있고, 인도네시아는 라오스를 상대로 0-0 무승부에 그치며 1승 1무로 조 2위다. 마지막 경기에서 승리하는 팀이 조 1위를 차지하게 되는 것.

한국으로선 인도네시아와 비기기만 해도 조 1위로 예선을 마무리할 수 있는 유리한 상황이다. 이번 예선은 아시아 44개국이 참가해 4팀씩 11개 조가 조별리그를 치르는 방식이다. 그중에서 각 조 1위를 차지한 11팀과 2위 중 성적이 좋은 4팀만이 내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리는 U-23 아시안컵 본선행 티켓을 손에 넣는다.

인도네시아는 다시 한번 한국을 꺾고 조 1위를 빼앗겠단 다짐이다. 인도네시아 U-23 대표팀은 지난해 4월 열린 2024 AFC U-23 아시안컵에서 승부차기 끝에 한국을 무너뜨리며 8강 탈락시킨 바 있다. 에릭 토히르 인도네시아 축구협회장은 선수단을 방문해 격려하며 "한국과 최종전은 본선 진출을 향한 마지막 승부가 될 거다. 열심히 노력하면 불가능이란 없다"라고 강조했다.

[사진]OSEN DB.

[사진]OSEN DB.


[사진]OSEN DB.

[사진]OSEN DB.


객관적 전력 면에서는 한국이 한 수 위다. 하지만 �o카록 감독은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플레이 스타일이 닮았다며 팽팽한 접전을 예상했다. 오케이존 볼라에 따르면 그는 두 팀이 비록 포메이션은 다르지만, 빠른 템포로 경기를 펼친다는 공통점을 지녔다고 분석했다.

또한 �o카록 감독은 장신 공격수 활용도 언급했다. 오케이존 볼라는 "공격과 마무리 측면에서 한국과 인도네시아 모두 키가 크고 몸집이 큰 스트라이커를 '타깃맨'으로 활용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에는 옌스 라벤과 호키 카라카가 있고, 한국엔 조상혁이 있다"라고 짚었다.

승부 예측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o카록 감독은 "양 팀 다 빠른 템포로 경기를 펼칠 거라고 확신한다. 한국과 1차전에서 가장 크게 느낀 점은 세트피스를 많이 활용했다는 거다. 많은 훈련을 소화한 것 같았다. 경기장에서도 다양한 모습을 볼 수 있었다"라며 "인도네시아와 한국의 최종전은 50대 50으로 매우 치열한 접전을 예상한다"라고 밝혔다.

끝으로 그는 "인도네시아 대표팀으로선 수비가 최우선이라고 생각한다. 이번 경기에서 우리는 그들을 크게 괴롭히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인도네시아가 한국의 공격을 잘 막아내는 게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양 팀의 경기는 한국 시간으로 9일 오후 9시 30분 킥오프한다.

/[email protected]

[사진] 대한축구협회, 인도네시아 축구대표팀, 에릭 토히르 소셜 미디어.


고성환([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