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아동·청소년 비만율이 올해 처음으로 저체중율을 넘어섰다. 유엔아동기금(유니세프)은 9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서 이를 "역사적 전환점"이라고 규정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5∼19세 아동·청소년의 저체중율은 2000년 13%에서 올해 9.2%로 줄어든 반면, 비만율은 같은 기간 3%에서 9.4%로 세 배 이상 늘었다. 이로써 전 세계 아동·청소년 10명 중 1명꼴인 1억8800만명이 비만에 시달리고 있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와 남아시아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비만율이 저체중율을 앞질렀다.
━
원인은 기업의 비윤리적 마케팅
유니세프는 비만 증가의 원인을 개인의 식습관이 아닌 기업의 비윤리적 마케팅으로 지적했다. 유니세프 영양 분야 법률 전문가 캐서린 섀츠는 "아이들이 학교에서도 설탕이 많은 음료와 짠 스낵 광고에 무분별하게 노출된다"고 밝혔다.
170개국 아동·청소년 6만4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75%가 최근 일주일간 탄산음료, 스낵, 패스트푸드 광고를 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정크푸드가 신선한 과일·채소·단백질보다 저렴해 가정의 식단에서 신선식품을 대체하는 현상도 문제로 꼽혔다.
━
가공식품이 비만 유도
비만은 과거 선진국 중심 문제였으나, 2000년 이후 상황이 달라졌다. 특히 태평양 섬나라에서 비만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니우에 38%, 쿡 제도 37%, 나우루 33%에 달했다. 이는 전통 식단에서 값싸고 편리한 수입 가공식품으로 전환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유니세프는 이번 보고서에서 아동·청소년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것은 "사회의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단순한 운동만으로는 해로운 식단의 악영향을 상쇄할 수 없다고 지적하면서, 정크푸드 광고 제한, 기업 대상 세금 부과, 신선 농산물 생산 장려 등 구속력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