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美 구금’ LG엔솔 300여명 귀국해도…배터리 공급 '플랜B' 마땅찮다

중앙일보

2025.09.10 00:48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미국 이민 단속 당국이 지난 4일(현지시간)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에서 불법 체류자 단속을 하고 있다. 이민세관단속국(ICE) 영상 캡처
미국 정부의 불법 체류자 단속으로 현지에서 체포·구금된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LG엔솔) 합작 배터리 공장(HL-GA) 인력 300여명이 전세기편으로 귀국할 예정이다. 하지만 공장 가동까지 차질이 불가피해 비상등이 켜졌다.

10일 LG엔솔에 따르면 지난 4일(현지시간) 조지아 배터리 공장 단속 사태 이후 현지 출장자들이 서둘러 귀국했다. 추가 단속 우려로 신규 파견도 멈췄다. 주재원 비자(L1)를 가진 직원과 현지 인력이 최소한의 관리 업무만 이어가는 상황이다.

대규모 파견 인력이 장기간 구금되는 최악의 상황은 가까스로 막았다. 하지만 공장의 정상 가동 일정은 불투명하다. 해당 공장에선 당초 내년 상반기부터 연간 약 30GWh(기가와트시) 규모, 전기차(EV) 약 30만대 분량의 배터리셀을 현대모비스에 공급할 계획이었다.

배터리 생산 차질이 장기화할 경우 전기차 산업까지 연쇄 타격이 있을 수 있다. 당장 ‘플랜B(대안)’로 생각할 수 있는 건 LG엔솔의 미국 현지 다른 공장(오하이오·테네시·미시간) 3곳에서 만든 배터리로 ‘돌려막기’하는 식이다.

하지만 여러모로 쉽지 않다. 오하이오·테네시 공장의 경우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합작 공장이다. 현대차와 경쟁하는 GM의 승인을 받기 어렵다. 미시간 공장은 연간 생산 능력이 20GWh 안팎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올해 상반기 일부 라인을 ESS(에너지저장장치)용으로 바꿔 생산 능력이 떨어진다.

결국 어떻게든 조지아 공장을 최대한 일정대로 가동하는 게 최선이다. 하지만 정부 설명처럼 구금된 인력이 ‘자진 출국’ 형식으로 귀국하더라도,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해 비자를 다시 발급받으려면 일정 차질이 불가피하다. 정식으로 단기 상용 비자(B1)를 발급받는 데 최소 100일 이상 걸린다. 협력사는 원청인 대기업보다 비자를 받기 더 어렵다. LG엔솔이 첫 단속 사례인 만큼 미국 현지에 진출한 다른 한국 기업도 비상에 걸린 건 마찬가지다.

구금된 인력이 공장 막바지 설비 작업을 위해 투입한 ‘정예 인력’인 만큼 급히 대체 인력을 확보하기도 어렵다. LG엔솔 관계자는 “구금된 상당수가 배터리 공장 건설 경험이 있는, 숙련된 인력”이라며 “최소한 해당 인력을 미국 현지 공장에 다시 투입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김지선 이민법인 대양 대표는 “자진 출국의 형식을 띠더라도 미국에 재입국할 경우 불이익이 있을 수 있다”며 “구금자들의 향후 불이익까지 최소화하는 게 정부의 후속 역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기환([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