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美와 무역전쟁' 캐나다, LNG·원자로·광산 활성화로 맞선다

연합뉴스

2025.09.11 17:2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카니 총리, 60조원 규모 프로젝트 공개…일자리 창출 효과도 노려
'美와 무역전쟁' 캐나다, LNG·원자로·광산 활성화로 맞선다
카니 총리, 60조원 규모 프로젝트 공개…일자리 창출 효과도 노려

(서울=연합뉴스) 이신영 기자 = 캐나다가 미국과 무역 전쟁 국면에서 자국이 입을 타격을 축소하기 위한 경제 활성화 프로젝트를 들고 나왔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11일(현지시간) 캐나다 정부가 국가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액화천연가스(LNG) 시설과 핵심 광물 광산, 원자로, 항만 등을 확장하는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우선 태평양 연안에 위치한 LNG 캐나다의 키티맷 시설을 확장해 연간 수출 능력을 2천800만톤으로 두배 늘릴 계획이다.
쥐스탱 트뤼도 전 총리 시절 캐나다 자유당 정부는 LNG 수출의 경제성에 대해 회의적 입장을 보여왔지만, 마크 카니 총리는 최근 몇 달간 유럽 관계자 등을 만나 캐나다산 LNG 수출에 공을 들여왔다.
캐나다는 또 온타리오주 달링턴에 있는 원자력 시설의 소형 모듈 원자로와 퀘벡 항만 확장 등도 추진하기로 했다.
캐나다가 이런 경제 활성화 프로젝트를 들고나온 것은 미국과의 무역 전쟁이 캐나다 경제를 침체로 몰아넣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카니 총리는 "미국은 모든 무역 관계를 근본적이고 급속하게 변화시키고 있으며, 그 영향은 즉각적이고 심대하다"며 "현재 세계 경제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은 단순한 전환이 아니라 파열"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앞으로의 길이 쉽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이 프로젝트들이 600억 캐나다 달러(약 60조원) 규모의 경제 효과를 가져오고 수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이번에 발표된 프로젝트에는 최근 몇 년간 정치적 갈등의 요소였던 신규 송유관 계획은 포함되지 않았다.
캐나다는 원유와 광물 등 천연자원이 풍부하지만, 그간 친환경 정책 기조에 따라 에너지 개발 사업에 제한을 뒀다.
그러나 앨버타주에서는 캐나다 전역을 가로질러 원유를 수송하는 파이프라인 건설을 요구해왔고, 야당인 보수당도 송유관이 필요하다고 주장해왔다.
지난 4월 총선에서 트뤼도 전 총리의 뒤를 이어 집권한 카니 총리는 에너지 개발사업에 대한 정부 규제를 완화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내기는 했지만, 이번 발표에서 송유관은 제외됐다.
가디언에 따르면 캐나다는 오는 11월 두 번째 프로젝트 목록을 발표할 예정이지만, 여기에도 송유관은 포함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11월 발표 목록에는 풍력 발전단지와 항만 현대화, 탄소 포집 프로젝트, 고속철도 등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신영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