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EN=김수형 기자]’방송인 박명수가 주 4.5일제 논의와 관련해 자신의 생각을 전했다. 단순히 "박명수 소신발언"이라는 프레임보다는, 공인으로서 발언할 때 균형 있는 시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12일 방송된 KBS 라디오 ‘박명수의 라디오쇼’ 코너 ‘검색 N차트’에서는 방송인 전민기와 함께 주 4.5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전민기는 “정부와 노동계 사이에서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올해 안에 시범사업 추진 가능성이 있다”며 “21년 만에 금요일 점심 퇴근이 가능해질 수도 있다”고 최근 분위기를 설명했다. 이어 “우리나라 연평균 근로시간이 1,904시간으로 OECD 평균보다 185시간 많다. 코로나 시기를 거치며 ‘주어진 업무만 해내면 된다’는 인식이 확산됐고, 여론도 긍정적이다. 국민 61%가 찬성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박명수는 “예전에는 주 5.5일제였다. 당시에는 힘들었지만 열심히 살았기 때문에 지금의 세상이 만들어진 게 아닌가 싶다”고 소신을 밝혔다. 그러면서도 “인구도 줄어드는 상황에서 근무까지 줄이면 문제가 될 수도 있다”며 “기업도 살아야 하고 근로 환경도 맞춰야 한다. 여러 논의를 통해 합의점을 찾는 게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박명수의 발언은 단순히 찬반의 문제가 아니라, 근로자와 기업 모두의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는 현실적인 시각으로도 읽힌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공인으로서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중심을 잡아 발언하는 태도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네티즌들 반응도 엇갈렸다. “역시 박명수, 현실적인 얘기를 잘 짚었다”, “기업도 생각해야 한다는 말에 공감한다”는 호응이 있었던 반면, “노동자의 입장에서 충분히 쉬는 게 더 중요하다”, “공인이면 더 균형 잡힌 시각으로 말해야 한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결국 주 4.5일제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문제라는 점에서, 박명수의 발언처럼 다양한 이해관계 속에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