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EN=서울월드컵경기장, 이대선 기자] 14일 오후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2025아이콘매치:창의 귀환,반격의 시작’ 경기가 열렸다.2025 아이콘매치는 넥슨 축구 게임 ‘FC 온라인’과 ‘FC 모바일’의 전설적 은퇴 선수들이 한국 경기장에서 펼치는 특별 경기다. 올해는 베일, 제라드, 카시야스가 새롭게 합류하고 아르센 벵거와 라파엘 베니테스 감독이 지략 대결을 펼친다.경기에 앞서 콜리나 심판이 경기를 준비하고 있다. 2025.09.14 /[email protected]
[OSEN=서울월드컵경기장, 이대선 기자] 14일 오후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2025아이콘매치:창의 귀환,반격의 시작’ 경기가 열렸다.2025 아이콘매치는 넥슨 축구 게임 ‘FC 온라인’과 ‘FC 모바일’의 전설적 은퇴 선수들이 한국 경기장에서 펼치는 특별 경기다. 올해는 베일, 제라드, 카시야스가 새롭게 합류하고 아르센 벵거와 라파엘 베니테스 감독이 지략 대결을 펼친다.경기에 앞서 호나우지뉴가 인사를 하고 있다. 2025.09.14 /[email protected]
[OSEN=서울월드컵경기장, 고성환 기자] 선수들뿐만 아니라 주심도 '레전드'로 섭외했다. '외계인 심판' 피에를루이지 콜리나가 2025 아이콘 매치의 휘슬을 잡았다.
'FC 스피어(공격수팀)'와 '실드 유나이티드(수비수팀)'은 14일 오후 7시 30분 서울월드컵기장에서 열린 '2025 아이콘 매치: 창의 귀환, 반격의 시작'에서 맞붙고 있다.
아이콘 매치는 이제는 축구화를 벗은 전설들이 한국에서 이색 경기를 펼치는 초대형 축구 행사다. 넥슨의 주최로 지난해 시작됐고, 뜨거운 인기에 힘입어 올해에도 돌아왔다. 작년에는 실드 유나이티드가 FC 스피어를 4-1로 대파했다.
설욕을 꿈꾸는 FC 스피어. 이들을 지휘하는 아르센 벵거 감독은 티에리 앙리, 박지성,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 카카, 가레스 베일, 디디에 드로그바, 웨인 루니, 호나우지뉴, 클라렌스 세이도르프, 스티븐 제라드, 잔루이지 부폰(GK)을 선발로 내보냈다.
라파엘 베니테스 감독이 이끄는 실드 유나이티드는 마이클 캐릭, 네마냐 비디치, 알레산드로 네스타, 마이콘, 클라우디오 마르키시오, 욘 아르네 리세, 카를레스 푸욜, 리오 퍼디난드, 클로드 마켈렐레, 애슐리 콜, 이케르 카시야스(GK)가 먼저 출격했다.
[OSEN=서울월드컵경기장, 이대선 기자] 14일 오후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2025아이콘매치:창의 귀환,반격의 시작’ 경기가 열렸다.2025 아이콘매치는 넥슨 축구 게임 ‘FC 온라인’과 ‘FC 모바일’의 전설적 은퇴 선수들이 한국 경기장에서 펼치는 특별 경기다. 올해는 베일, 제라드, 카시야스가 새롭게 합류하고 아르센 벵거와 라파엘 베니테스 감독이 지략 대결을 펼친다.전반 스피어 박자성이 드리블 돌파를 하고 있다. 2025.09.14 /[email protected]
[OSEN=서울월드컵경기장, 이대선 기자] 14일 오후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2025아이콘매치:창의 귀환,반격의 시작’ 경기가 열렸다.2025 아이콘매치는 넥슨 축구 게임 ‘FC 온라인’과 ‘FC 모바일’의 전설적 은퇴 선수들이 한국 경기장에서 펼치는 특별 경기다. 올해는 베일, 제라드, 카시야스가 새롭게 합류하고 아르센 벵거와 라파엘 베니테스 감독이 지략 대결을 펼친다.전반 스피어 호나우지뉴가 슛을 시도하고 있다. 2025.09.14 /[email protected]
말 그대로 '꿈의 라인업'이다. 박지성과 루니가 다시 호흡을 맞추고, 반대편에선 함께 맨유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퍼디난드와 비디치, 캐릭이 수비를 펼치고 있다. 리버풀 출신 제라드와 리세도 적으로 만났다. 여기에 차범근 전 감독이 아이콘 매치를 상징하는 '스피어'를 들어 올리며 열기를 더했다.
또 하나의 깜짝 얼굴도 등장했다. 바로 이탈리아의 전설적인 심판인 콜리나. 그는 2002 한일 월드컵 결승전의 주심을 맡기도 했다. 은퇴한 지 20년이 된 콜리나가 심판복을 입고 경기장에 들어서자 엄청난 환호성이 터져나왔다. 선수들도 놀란 얼굴로 미소 지었다.
한편 경기장을 가득 메운 6만 관중은 전설들의 움직임 하나 하나에 주목하고 있다. 피치 위를 떠난 지 오래된 선수들이 많은 만큼 긴장감 있는 흐름이 되진 않았으나 팬들의 탄성을 자아내기엔 충분했다. 박지성이 공만 잡아도, '외계인' 호나우지뉴가 드리블에 시동만 걸어도 관중석이 들썩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