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에서 남양주까지 이동시간을 98분 단축하는 ‘경기북부 중심 고속화도로’가 건설된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15일 의정부시 민락국민체육센터를 찾아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경기북부 중심고속화도로는 수도권 제1·2 순환 고속도로 사이에 건설되는 동-서를 연결하는 고속화도로다. 고양, 파주, 양주, 의정부, 남양주 등 경기북부 5개 시를 연결한다. 총연장 42.7㎞ 구간에 총사업비 2조506억원을 들여 도민참여형 민자사업 형태로 조성, 추진한다. 2034년 개통 목표다.
이 도로는 서울~문산, 서울~양주, 세종~포천, 하남~남양주~포천 등 남북축 고속도로 4개와 연계한다. 주요 지점 나들목도 조성해 경기북부 공간구조를 기존 4개 격자형에서 8개 격자형으로 세분화해 지역 접근성을 대폭 개선한다. 기존 자유로, 강변북로, 하남~남양주~포천 등 서울 강북과 연결되는 경기북부 순환망 역할도 한다.
경기북부 지역 간 이동시간도 대폭 단축된다. 고양시 원당동~남양주시 진접읍 구간의 경우 기존 국도 등을 대신해 이 도로를 이용하면 통행 거리가 78㎞에서 51㎞로 줄어든다. 이에 따라 통행시간은 2시간 22분에서 44분으로, 통행속도는 시속 33㎞에서 68㎞로 각각 개선된다.
이에 따라 중증 응급환자를 위한 골든타임 확보, 관광지 접근성 확보, 물류비용 절감 등이 예상돼 약 2조2498억원 규모의 경제효과와 9650명의 고용 창출 효과도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
민간투자사업 방식 추진…‘도민 펀드’ 도입
도는 이번 사업을 민간투자사업 방식으로 추진하되, ‘도민 펀드’를 도입한다. 민간 투자사(도민 펀드 운용)로부터 제안서를 접수한 이후 기본계획 고시, 사업시행자 지정, 실시계획 승인 및 착공에 나설 계획이다. 민간 수익 독점 구조에서 벗어나 도민이 쉽게 직접 투자하고 수익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재정 투입 부담은 최소화하고, 민자사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해소할 방침이다.
김동연 지사는 “경기도의 힘으로 하겠다. 보통은 국가 재정에 의지하다 보면 시간이 오래 걸리는데, 경기도가 주도적으로 하겠다”며 “개발을 먼저 하고 길을 내는 게 아니라 길부터 내겠다. 이제까지의 개발을 하고 교통을 하는 내용과 전혀 다른 모습이다”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국민 펀드가 들어갈 것이다. 아마도 적정한 수익률을 가져갈 수 있는 모델을 만들기 때문에 인기가 좋을 것”이라며 “대한민국에서 도로를 가지고 국민 펀드를 하는 건 최초다. 교통의 대변혁이 일어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