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연합뉴스) 김지연 특파원 = 러시아 해커들이 폴란드 병원과 수도시설 등 도시 인프라를 공격해 폴란드가 사이버 안보 예산을 역대 최대로 늘렸다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다리우시 스탄데르스키 폴란드 디지털부 차관은 이 매체와 인터뷰에서 폴란드가 매일 핵심 인프라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20∼50건 받는다고 말했다.
폴란드 당국자들은 유럽연합(EU)에서 러시아 사이버 공격을 가장 많이 받는 곳이 폴란드라면서, 그중 99%는 막아내고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중 병원을 겨냥한 사이버 공격 일부는 성공해 보건의료 시설이 몇 시간 동안 중단됐고 해커들이 의료 데이터를 빼갔다.
지난달에는 폴란드 한 대도시의 상수도 공급을 끊으려는 러시아 해커들의 시도가 있었다. 스탄데르스키 차관은 이에 대해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후 가장 심각한 해킹 사건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폴란드 정부는 이런 시도에 대응하고자 올해 사이버 안보 예산을 역대 최대인 10억 유로(1조6천300억원)로 증액했다. 지난해에는 6억 유로(9천800억원)였다.
스탄데르스키 차관은 이번 달 상하수도 시설 사이버 안보 강화를 위해 8천만 유로(1천300억원)를 배정했다면서 폴란드 정계에 상당한 분열이 있지만, 사이버 안보 정책에는 초당적인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폴란드는 지난주 러시아 드론 19대가 폴란드 영공으로 진입하는 위협을 겪었다. 도날트 투스크 폴란드 총리는 15일 저녁 수도 바르샤바의 대통령 관저와 정부 청사 상공을 비행하던 드론이 무력화됐고 이 사건과 관련해 벨라루스인 2명이 체포됐다고 밝히기도 했다.
스탄데르스키 차관은 지난 1년여간 러시아 역외영토 칼리닌그라드 인근 반경 안에서 최대 30건의 전파방해 사건이 있었다고도 전했다.
폴란드 정부는 이같은 전파방해는 특정 항공기를 겨냥한다기보다는 전반적인 교란을 목적으로 한다고 본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지연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