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독일, 폴란드에 "2차대전 배상 대신 안보 지원"(종합)

연합뉴스

2025.09.16 09:2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폴란드 대통령, 배상금 2천120조원 거듭 요구
독일, 폴란드에 "2차대전 배상 대신 안보 지원"(종합)
폴란드 대통령, 배상금 2천120조원 거듭 요구

(베를린=연합뉴스) 김계연 특파원 = 독일 정부가 제2차 세계대전 배상금으로 1조3천억유로(2천120조원)를 달라는 폴란드의 요구를 거듭 거부했다.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독일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취임 인사차 독일을 방문한 카롤 나브로츠키 대통령에게 배상 문제는 법적으로 해결됐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슈타인마이어 대통령은 그러나 "기억과 추모를 증진하는 일은 공통 관심사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독일 대통령실은 전했다.
독일은 1953년 폴란드가 배상 요구를 포기해 전후 처리가 끝났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폴란드 우파는 당시 소련의 강압으로 인한 청구권 포기는 무효라고 반박한다.
지난 5월 대선에서 나브로츠키를 지지한 우파 정당 법과정의당(PiS)은 2022년 나치 독일에 폴란드가 입은 피해를 정리한 보고서를 내고 1조3천억 유로(약 2천120조원) 배상 요구를 공식화했다.
배상금 문제는 이듬해 12월 폴란드에 유럽통합을 추구하는 자유주의 성향 내각이 들어서면서 잠잠해졌다. 그러나 올해 들어 역사학자인 나브로츠키가 대통령에 당선되자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나브로츠키 대통령은 독일 일간 빌트 인터뷰에서 배상금에 대해 "깊이 있고 근거에 기반한 과학적 연구로 산정했다"며 "이 논의는 폴란드와 독일 모두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주장했다.
독일 정부는 안보 지원으로 배상을 대신하자는 대안을 내놨다.
연방정부 폴란드 담당 특임관인 크누트 아브라함은 전날 독일 매체 RND에 "독일의 의무를 현대적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다. 과거에는 폴란드가 피해국이었지만 이제는 독일과 폴란드가 서로를 지켜야 한다"며 "우리는 이를 군사적, 재정적으로 뒷받침해야 한다. 그게 해결책"이라고 말했다.

독일은 최근 러시아 드론의 영공 침범으로 안보 불안이 고조된 폴란드에 배치한 유로파이터 타이푼 전투기를 2대에서 4대로 늘리고 공중 순찰 임무 기간을 연말까지 연장했다.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는 이날 나브로츠키 대통령과 만난 자리에서 "2차대전과 독일 점령의 참상 이후 폴란드와 화해 증진은 독일 정부의 역사적 책임으로 남아 있다"고 말했다고 독일 총리실은 전했다.
반면 즈비그니에프 보구츠키 폴란드 대통령실장은 이날 현지 매체에 "폴란드의 이익에 중대한 문제"라며 "독일의 범죄가 발생한 지 얼마나 지났든 배상금을 끈질기게 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나브로츠키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지원을 받아 안보를 지키겠다는 공약으로 당선됐다. 지난 3일에는 미국 백악관을 찾아가 트럼프로부터 폴란드 주둔 미군 규모를 유지하고 원하면 늘려주겠다는 답변을 받았다.
그러나 지난 10일 러시아 드론 침투 사건 이후 유럽 이웃 나라를 멀리하고 미국에 안보를 기대는 전략이 실패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국내에서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군의 실수였을 수도 있다"며 입장을 유보하는 사이 독일·영국·프랑스 등 유럽 국가들은 폴란드 영공 방어를 지원하겠다며 전투기를 잇따라 보냈다.
폴란드 매체 TVP는 "독일과 협력을 배상금 문제와 연계해 폴란드에 가장 필요한 협상 여지를 오히려 좁혔다"며 "성과를 내려면 분노의 언어를 외교의 기술로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계연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