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니, 21일 개헌 국민투표…군정수반 대선출마 길 열리나
'군정 출마 금지' 조항 없어…야권 보이콧 촉구
(요하네스버그=연합뉴스) 유현민 특파원 = 서부 아프리카 기니에서 오는 21일 헌법 개정을 위한 국민투표가 치러진다.
이번 개헌은 2021년 쿠데타로 들어선 군정이 올해 연말을 목표로 제시한 민정 이양 과정의 첫 단계다. 약 1천450만명의 인구 중 유권자는 670만명이다.
군정이 지난해 7월 발표한 개헌안은 연임 제한 없이 6년이던 대통령 임기를 5년으로 줄이고 한 차례만 연임할 수 있도록 했다. 대통령 입후보 연령은 35세 이상 80세 이하로 제한했다.
임시 대통령과 군부 인사, 총리 등 군정 구성원은 민정 이양을 위해 치르는 선거에 출마할 수 없다고 규정한 과도 정부 헌장과는 달리 이런 제한 조항은 포함되지 않았다. 군정 수반이 대권에 도전할 수 있는 길을 터놓은 셈이다.
이에 야권은 개헌 국민투표 보이콧을 촉구하고 있다고 AFP통신이 전했다. 과도 정부 헌장을 대체하는 개정 헌법이 채택되면 군정 수반인 마마디 둠부야(45)가 오는 12월로 대선에 출마할 수 있다.
둠부야는 2021년 임시 대통령 취임 당시 본인을 비롯한 군정의 어떤 구성원도 선거에 출마하지 않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따라서 둠부야 임시 대통령이 개헌 뒤 대선에 출마해 당선되면 '무늬만' 민정 이양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올 수 있다.
기니에서는 무리한 개헌으로 3선 연임에 성공한 알파 콩데 대통령이 2021년 9월 군부 쿠데타로 쫓겨나고 당시 대령이던 둠부야가 이끄는 군정이 들어섰다.
초기에는 대다수 국민은 물론 야권도 2010년 최초의 민선 대통령이었던 콩데 대통령의 장기 집권에 반발해 쿠데타를 인정하는 분위기였으나 2022년 5월 군정이 모든 시위를 3년간 금지하고 민정 이양을 지연하면서 반발이 이어졌다.
애초 과도 통치 기간으로 3년을 제시했던 군정은 국내 야권과 역내 국가 연합체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ECOWAS) 등의 반대로 2022년 10월 이를 2년으로 단축했으나 작년 말까지 개헌과 선거는 없었다.
둠부야 임시 대통령은 지난 1월 신년사에서 올해가 "중요한 선거의 해"가 될 것이라며 연내 대선·총선을 치러 민정 이양을 마무리하겠다고 약속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유현민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