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소·기시다, 자민 선거 '킹메이커'로…후보자들, 앞다퉈 접근
파벌 수장·前총리로 의원들에 영향력…결선투표서 특정후보 지지 가능성
"소수여당 전락에 후보들 독자색 옅어져…논쟁 회피 움직임" 분석도
(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약 보름 앞으로 다가온 일본 집권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이른바 '킹 메이커'가 될 인물로 아소 다로, 기시다 후미오 전 총리가 주목받고 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18일 보도했다.
자민당은 기존에 파벌 중심으로 운영됐지만, 2023년 연말 불거진 '비자금 스캔들'을 계기로 파벌 대부분이 해체했다.
하지만 아소 전 총리가 수장인 '아소파'는 파벌 중 유일하게 존속을 택했고, 옛 '기시다파'를 이끌었던 기시다 전 총리도 파벌에 몸담았던 의원들에게 여전히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최대 파벌이었던 옛 '아베파'는 아베 신조 전 총리라는 구심점이 사라졌고, 아소파와 세력이 비슷했던 옛 '모테기파'는 회장이었던 모테기 도시미쓰 전 자민당 간사장이 출마를 선언했다.
현재 자민당 의원은 295명이며, 아소파 의원과 기시다 전 총리를 따르는 의원은 각각 40명 안팎이다. 대략 의원 25∼30%가 두 사람의 영향권에 있는 셈이다.
내달 4일 치러지는 자민당 총재 선거 1차 투표에서는 국회의원이 각각 1표를 행사하고, 당원 표를 국회의원 합계 표수로 환산해 더한다. 의원 표와 당원 표 비중은 1대1이다.
만일 1차 투표에서 과반 득표자가 없으면 상위 2명이 결선 투표를 치른다.
결선에서 국회의원은 그대로 1표를 투표하지만, 당원 투표는 47개 광역지자체 투표로 바뀐다. 국회의원 295표, 지방 조직 47표를 합산하는 형태여서 의원들의 의중이 매우 중요해진다.
아소, 기시다 전 총리는 이번 선거를 앞두고 특정 후보를 지지한다는 의사를 표명하지는 않았다.
다만 아소파 일부는 양강 후보인 다카이치 사나에 전 경제안보담당상, 고이즈미 신지로 농림수산상 진영에서 활동하고 있다.
옛 기시다파의 경우 일부 의원이 기시다파 좌장이었던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과 고이즈미 농림수산상 진영에 가담했다.
요미우리는 아소, 기시다 전 총리가 결선 투표에서 어떤 후보를 지지하는지가 새 총재 선출의 주요 변수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들이 결선 투표에서 지지한 후보가 당선되면 향후 출범할 정권에 어느 정도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작년 9월 총재 선거에서는 기시다 전 총리가 옛 기시다파 의원들을 대상으로 이시바 시게루 총리에게 투표하도록 지시해 당선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당시 아소 전 총리는 다카이치 전 경제안보담당상을 밀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당권에 도전할 것으로 알려진 후보 5명은 아소, 기시다 전 총리에게 각각 접근하고 있다.
아소 전 총리는 지난 12일 사무소에서 모테기 전 간사장과 고바야시 다카유키 전 경제안보담당상을 만났다. 기시다 전 총리도 이달 8일 이후 하야시 장관, 다카이치 전 경제안보담당상 등과 면담했다.
고이즈미 농림수산상은 이날 아소, 기시다 전 총리와 각각 만날 예정이다.
요미우리는 "아소, 기시다 전 총리가 각 후보의 정책과 정세를 지켜보면서 최종 대응을 판단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관측했다.
한편, 이번 선거에서는 후보자들이 작년 선거와 비교해 독자적 색채를 덜 내고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지난해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는 부부가 다른 성(姓)을 쓰는 것을 허용하는 선택적 부부별성 제도를 둘러싸고 논쟁이 벌어졌는데, 이 사안은 아직 큰 쟁점이 되지 않고 있다.
일본에서 보수파는 일본의 전통적 가족 개념이 무너질 수 있다는 이유 등을 들어 선택적 부부별성 제도 도입을 거부하고 있다.
경제 정책에서는 이시바 총리가 반대했던 소비세 감세에 대한 각 후보의 태도가 관심사이지만, 이시바 총리의 퇴진 표명 이후 뚜렷하게 감세를 주장하는 인물은 없는 상황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재정, 보수·진보 대립을 피하려는 움직임은 자민당이 소수 여당이라는 현실을 반영한다"고 해설했다.
작년 선거 당시는 자민당과 연립 여당 공명당이 국회 과반 의석수를 차지했던 터라 후보들이 총리 취임을 염두에 두고 강하게 정책을 주장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총리 선출은 물론 법안과 예산안 통과에 야당 협력이 필요해 논쟁을 회피하려 한다고 이 신문은 덧붙였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박상현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