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미국과 중국이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처분과 관련해 큰 틀의 합의를 한 데 대해 공화당 소속의 미 하원 미중전략경쟁특별위원회 위원장이 중국 공산당의 안보 위협이 계속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17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존 물레나(공화·미시간) 미중전략경쟁특위 위원장은 이날 성명을 통해 "초기 보고에 따르면, 보도된 라이선스 계약은 신생 틱톡이 바이트댄스의 알고리즘과 애플리케이션에 계속 의존할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갖게 하며, 이는 중국 공산당의 지속적인 통제나 영향력을 허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14∼15일 스페인에서 개최한 중국과의 고위급 무역 협상에서 도출한 틱톡의 처분 방안과 관련해 틱톡과 모회사인 중국기업 바이트댄스의 연결고리가 끊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미 정부는 '틱톡을 미국이 통제하는 소유 구조로 바꾸는 방안'을 큰 틀에서 합의했다고 언급했는데, 언론들은 미국 투자자들이 틱톡 미국 법인의 지분 상당수를 갖고 나머지 지분은 중국 주주가 보유하는 구조가 될 것으로 보도했다.
로이터는 소식통을 인용해 새로운 합의 하에서 미국 내 틱톡은 여전히 바이트댄스의 알고리즘에 접근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미중전략경쟁특위는 미국이 중국 공산당과의 전략적 경쟁에 대응하는 데 필요한 정책을 제안하는 역할을 하는 하원 내 위원회다.
미국은 틱톡의 모회사가 바이트댄스라는 점에서 틱톡이 중국 정부의 개인정보 탈취나 해킹에 이용돼 미국 안보를 위협할 수 있다고 우려해왔다.
이에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인 지난해 4월 바이트댄스가 미국 내 사업권을 미국 기업에 매각하지 않으면 미국 내 틱톡 서비스를 금지하는 이른바 '틱톡 금지법'을 제정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젊은 지지자들이 틱톡을 애용하는 점을 고려해 취임 후 틱톡 금지법의 시행을 유예하고 중국 측과 협상을 진행해왔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신재우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