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지아주(州) 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벌어진 한국인 구금 사태를 두고 미국 내에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조지아주 관계자들은 한국인 근로자를 복귀시킬 방법을 고심하고 있다.
17일(현지시간) 조지아주 주요 경제 인사들은 지난 4일 미국 이민단속국(ICE)에 체포됐다가 일주일간 구금된 뒤 귀국한 한국인 근로자들을 미국에 돌아오게 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립 톨리슨 조지아주 서배너 경제개발청장은 이날 현지 매체 인터뷰에서 “(한국인 근로자들이) 돌아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그들은 장비를 설치하고 직원들에게 배터리 셀 기술을 가르칠 수 있는 유일한 사람들”이라고 말했다.
서배너 경제개발청은 조지아주 정부와 협력해 지역 경제 성장을 도모하는 민간 조직이다. 톨리슨 청장은 지난주 팻 윌슨 조지아주 경제개발부 장관과 함께 현대자동차 경영진을 만났다고 밝혔다. 그는 “나와 윌슨 장관은 프로젝트를 완공까지 현대자동차를 돕겠다고 밝혔고 한국인들을 귀환시키기 위해 많은 논의를 했다”고 했다.
톨리슨 청장은 단속을 사전에 알지 못했으며, 단속 규모에 놀랐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들이 겪은 실망감을 충분히 이해한다”면서도 “이번 사건은 작은 후퇴에 불과하다. 그들이 일정에 맞춰 이른 시일 내에 복귀할 것을 의심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
미국서도 “한국인 비자 제도 개선돼야”
하지만 구금됐던 근로자들의 충격이 큰 상황에서 제대로 된 재발 방지책이 마련되기 전까지 미국 복귀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특히 한국인 전문인력 대상 취업비자인 E-4 비자 신설 등 제도 개선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는 16일 리비안 전기차 공장을 찾아 “미국의 비자 제도를 전면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구금 사태 이후 처음으로 입장을 밝힌 것이다. 그는 “이번 사건은 현대차만의 문제가 아니다. 전국의 많은 기업이 똑같은 문제를 겪어왔다”며 “현장에서 실제로 무슨 일이 있는지 많은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같은 날 크리스 클락 조지아주 상공회의소장도 “공장을 지으러 온 한국, 일본, 독일 노동자들을 위해 미국 비자 제도의 전면 개편이 필요하다. 그것이 장기적으로 볼 때 조지아 노동자들에게 이득”이라고 말했다.
미 의회에서도 이번 구금사태를 심각하게 바라보고 있다. 미 연방 의회조사국(CRS)은 지난 12일 보고서에서 구금 사태가 한·미관계의 도전 과제로 남아 있다고 짚었다. CRS는 “미국의 이민 단속 작전은 한국에서 양국 관계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미국의 이민 정책이 외국인 투자를 통한 미국 제조업 일자리 창출 목표와 상충할 수 있다는 의문을 제기했다”고 지적했다.
CRS는 공화당 소속 영 김 하원의원(캘리포니아)이 발의한 H.R.4687 법안을 언급했다. ‘파트너 위드 코리아’로도 불리는 이 법안은 한국인에 대한 고숙련 비자 발급을 규정한 것으로, 한국인 전용 E-4 비자 쿼터 1만5000개를 확보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