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하네스버그=연합뉴스) 유현민 특파원 = 세계보건기구(WHO)가 콩고민주공화국(민주콩고)의 에볼라 바이러스병(에볼라) 사망자가 31명으로 늘었다고 18일(현지시간) 밝혔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이날 제네바에서 연 화상회의에서 "민주콩고 정부가 에볼라 발병을 선언한 지 2주가 지났다"며 "지금까지 48건의 확진·의심 사례가 보고됐고 31명이 숨졌다"고 말했다.
WHO 관계자는 이와 관련, "보고된 48건 중 38건이 확진 사례"라며 "발병 중심지인 민주콩고 남부 카사이주 불라페 지역 에볼라 치료센터에서 15명이 치료 중이고 2명은 퇴원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불라페 지역에 에볼라 백신 760회분이 공급돼 500명 이상의 의료진과 확진자 밀접 접촉자에게 접종을 완료했으며 며칠 내 수도 킨샤사에 추가로 약 4천500회분이 공급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민주콩고 보건부는 지난달 남부 카사이주에서 고열과 반복적인 구토 증상으로 입원한 34세 임신부가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며 지난 4일 에볼라 발병을 공식 발표했다.
에볼라는 바이러스성 출혈열로 1976년 처음 발병이 확인된 지역인 민주콩고의 에볼라강에서 이름을 따왔다. 체액을 통해 감염되며 고열과 출혈을 일으키고 제때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치사율이 최고 80∼90%에 이르기도 한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서부 아프리카에서는 1만1천300명이 에볼라로 사망한 바 있다. 특히 민주콩고는 과거 15차례나 에볼라 종식 선언을 할 정도로 발병이 끊이지 않는 국가로 이번이 16번째 발병이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유현민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