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조현 "반미 감정 우려 없어...불이익 없단 확약 거짓말 아냐"

중앙일보

2025.09.19 02:07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조현 외교부 장관은 최근 조지아에서 발생한 한국인 구금 사태와 관련해 국내에서 반미 감정이 다시 고조될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구금됐던 노동자들의 재입국 시 불이익 여부와 관련해서는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으로부터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확약을 받았다"고 강조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이 19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SPCC라운지에서 열린 외신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스1

조 장관은 17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미국 재입국 시 불이익이 없다는 한국 정부 설명이 거짓말이라는 우려가 있다'는 미국 매체 질문에 "제가 거짓말한 적 없고 루비오 장관도 거짓말을 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전체적으로 워킹그룹을 만들어서 미국 측과 협의해나간다는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구금 사태에서 논란이 됐던 단기 상용 B1 비자나 전자여행허가(ESTA)에 대해 기업에게 어떤 안내를 하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어떤 일을 할 수 있느냐의 최종적인 권위 있는 답(authoritative answer)은 미국 정부가 내려야 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구금됐던 317명의 근로자 중 상당수가 현지에서 회의, 교육, 장비 설치·시운전이 가능한 B1 비자를 소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나면서 B1 비자의 미국 내 근로 허용 범위를 둘러싼 논란과 함께 한국 근로자에게 이를 보다 유연하게 적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조 장관은 또 구금된 이들 중 몇 명이 불법 체류였는지에 대해선 "잘 모르겠다"며 "앞으로 구체적인 비자와 하던 일 그리고 혹시나 인권침해가 있었다면 무엇인지 전수조사할 테니 그 과정에서 더 상세히 밝혀지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번 구금 사태가 한·미 동맹의 정신에 위배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는 "상황을 어떻게 보느냐에 달려 있다"며 "한·미 관계는 그런 이슈를 극복하고 오히려 전화위복의 사례(case of silver lining)로 만들 만큼 강하다"라고 답했다.

조 장관은 한·미 간 관세 후속 협상이 난항을 겪는 데 대해선 "미국의 제안 중에는 우리 국민에게 부담을 지우는 내용이 있고 그 경우 국회 동의를 받아야 한다"며 "그 외에 우려스러운 점들이 있다는 것을 미국 측에 잘 설명하고 서로 '윈윈' 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들어내야 하므로 협상이 지연되고 있을 뿐이다"라고 설명했다.

조현 외교부 장관(왼쪽)이 19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SPCC라운지에서 열린 외신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스1

지난 17일 한·중 외교장관 회담을 한 뒤 전날 중국에서 돌아온 조 장관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한국도 방문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APEC 정상회의 계기에 시 주석이 서울에서 양자 방문 일정을 추가로 소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조 장관은 "중국 경제가 빠르게 발전하면서 이제는 중국 기업들이 (한국 기업과) 협력적 관계보다는 경쟁적 관계 단계로 넘어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불가피한 일이고 여기에 적응해서 한·중 경제 관계를 발전시키는 이슈도 매우 긍정적인 방향으로 논의하고 합의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한·일 과거사 문제와 관련해 일본으로부터 원하는 바가 있느냐는 질문에 조 장관은 "일본 정부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해라, 하기를 바란다, 이런 것은 없다"며 "그것은 일본 정부가 고민해서 한·일 관계 발전을 위해 갖고 나와야 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조 장관은 또 윤석열 정부에서 도출한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을 위한 '3자 변제' 방식에 대해 "내가 문재인 정부에서 제안했던 것보다 한국 측에서는 조금 더 수용하기 어려운 방식이었다"라고도 설명했다.

한국의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을 위해서는 일본과 후쿠시마산 수산물 수입 제한 문제를 논의해야 하지 않느냐는 일본 매체 질문에 조 장관은 "수산물 수입 제한 조치 철폐가 CPTPP 가입의 선제 조건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한국인이 가진 그 지역 수산물에 대한 우려가 해소되기 전에는 제한을 풀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러 관계에 대해서 조 장관은 "현재로써는 제재를 추가한다든가 반대로 러시아와 먼저 협력의 이니셔티브를 만든다거나 이런 것은 갖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과 관련해 러시아가 중재자 역할을 할 가능성을 묻는 러시아 매체의 질문에 "러시아가 그런 역할을 할 수 있다면 물론 협의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면서도 "러시아와 현 단계에서 공식적인 외교의 복원을 해나가면 조금 부담스럽다"라고 말했다.



박현주([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