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이란, '제재 복원' 유엔 표결 직전 "합리적 대안 제시"

연합뉴스

2025.09.19 02:2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이란, '제재 복원' 유엔 표결 직전 "합리적 대안 제시"

(이스탄불=연합뉴스) 김동호 특파원 =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유럽 3개국(E3)이 추진하는 대이란 제재 복원에 대해 19일(현지시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표결하는 것과 관련, 이란은 대안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무장관은 전날 밤 엑스(X·옛 트위터)에서 "앞으로 며칠간 벌어질 수 있는 불필요하고 피할 수 있는 위기를 막고자 E3와 유럽연합(EU) 회원국들에 합리적이고 실행가능한 계획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아락치 장관은 이란이 앞서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새로운 협력 방식에 합의한 점을 거론하며 "이제 유엔 안보리가 개입해 대립이 아닌 외교를 선택해야 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이날 사이드 카티브자데 이란 외무차관은 스위스 제네바에서 기자들과 만나 "유럽 국가들이 하는 일은 정치적으로 편향된 일이며, 정치적 동기에 따른 것"이라며 "이란핵합의(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에 포함된 장치를 악용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유럽이 이 길을 고수한다면 예측불가능성이 최고조로 치달을 것이며 유럽은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위험에 대해 책임져야 한다"고 경고했다.
2015년 체결된 JCPOA에 서명한 당사국인 E3는 지난달 이란이 핵협상에 나서지 않으면 이란에 대한 제재를 복원하는 '스냅백' 절차를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이란핵합의에 따라 서명 당사국이 다른 당사국의 합의 위반을 주장하면 30일간 외교적 방법으로 분쟁 해결을 시도하고, 이 과정 뒤에도 해결이 되지 않고 '중대한 불이행'으로 판단하면 유엔 안보리에 회부한다.
안보리 통보와 함께 스냅백 절차가 가동되는데 통보 뒤 30일 이내에 핵프로그램과 관련한 대이란 제재를 계속 유예하겠다는 결의가 채택되지 않으면 제재가 자동 복원(스냅백)된다.
이란에 우호적인 안보리 상임이사국 러시아와 중국이 제재 유예 유지 결의안에 찬성하더라도 미국, 영국, 프랑스 중 어느 한 곳이라도 반대하면 제재가 복원되는 구조다.
E3는 지난달 28일 이란의 중대한 불이행을 이유로 스냅백 절차를 발동했다. 따라서 이달 27일까지 안보리가 대이란 제재 유예 유지 결의를 하지 않으면 제재는 복원된다. 이 제재 유예 유지 결의안은 안보리 의장국 자격으로 한국이 초안을 마련했다.
러시아와 중국은 이란핵합의를 보장한 유엔 결의 2231를 일단 6개월 연장하는 결의안 초안을 제출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동호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