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전명훈 기자 = 이란 최고국가안보회의(SNSC)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서 자국 핵 프로그램에 대한 제재가 복원되는 방향의 표결이 나오자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협조하는 길은 사실상 중단됐다"고 20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란 SNSC는 이날 방송된 성명에서 "외무부가 IAEA와 협력해왔고, 문제 해결을 위한 계획안을 제출했는데도 유럽 국가들이 이렇게 행동했다"며 이번 조치의 사유를 설명했다.
전날 유엔 안보리는 이란의 핵 프로그램 개발 관련한 제재 종료를 유지하는 결의안을 부결시켰다.
이에 따라 2015년 '이란 핵 합의'(JCPOA) 이후 중단됐던 이란에 대한 제재가 복원 수순에 돌입했다.
이 절차는 지난달 28일 시작됐다.
당시 JCPOA 서명 당사국인 영국, 프랑스, 독일(일명 E3)은 이란의 중대한 합의 불이행을 이유로 들어 제재 자동 복원을 의미하는 '스냅백' 절차를 발동했다.
E3는 이란이 지난 6월 이스라엘과 미국으로부터 핵시설 폭격을 받은 이후 IAEA 사찰관의 핵시설 방문을 허용하지 않은 점, 미국과의 핵 협상에 응하지 않은 점 등을 문제 삼았다.
유엔의 대이란제재는 절차 발동 이후 30일이 지난 이달 27일까지 안보리 이사국 간 제재 종료 유지에 관한 별도의 합의가 나오지 않는다면 28일부터 복원된다.
이란은 유럽의 제재 복원 추진으로 앞서 수개월간 진행한 IAEA와의 협력 노력이 훼손됐다고 주장하며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무장관과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은 이달 9일 이집트 카이로에서 만나 '이란 내 사찰활동 재개를 위한 실질적인 방안'에 합의한 바 있다.
이란 최고국가안보회의도 이 합의를 승인했지만, 이란이나 이란 핵시설에 대한 '적대적 행동'이 발생하면 합의를 종료하겠다는 단서를 달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