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호남 신공항 사업비가 내년 정부 예산안에 대거 반영된 가운데 5억원에 불과한 청주공항 활주로 신설 관련 예산이 빠지면서 ‘충청 홀대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21일 충북도에 따르면 청주공항에 민항기 전용 활주로를 놓기 위해 국토교통부에 제안한 사전타당성 조사 용역비 5억원이 내년 정부예산안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자, 새 정부 국정과제에 포함된 청주공항 활주로 신설은 이용객 수 증가에 대비해 길이 3200m의 새 활주로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총 사업비는 1조5000억원을 예상한다. 연말 국회 예산 심의과정에서까지 사전타당성 조사 예산이 반영되지 않으면, 계획 수립과 설계·착공까지 수년간 사업 지연이 예상된다. 국토교통부는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에 청주공항 활주로 신설 사업을 반영하는 게 먼저라는 생각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11월 말께 발표할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에 활주로 신설 계획을 반영하고, 국회를 설득해 용역비 예산도 확보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
가덕도·새만금 신공항은 수천억 배정
청주공항 활주로 신설에 애를 먹는 충북과 달리 영호남 쪽 상황은 딴판이다. 국토부는 최근 법원이 기본계획 취소 판결을 내린 전북 새만금 신공항에 건설비 등으로 내년 1200억원을 편성한 상황이다. 부산 가덕도 신공항은 6890억원, 대구·경북 신공항 318억원, 울릉도 공항에 1149억원, 제주 제2 공항에 150억원을 투입한다. 상당수는 새만금 공항처럼 ‘공항 백지화’ 여론으로 몸살을 앓는 곳이다.
유철웅 청주공항 민관정 공동위원장은 “청주공항 활주로 신설은 충청권 4개 시도 주민 116만명이 서명에 동참할 만큼 숙원임에도 용역비 5억원이 반영되지 않은 것에 실망감이 크다”며 “영호남 신공항은 특별법 제정에 예비타당성 면제까지 받아 추진하고 있다. 형평성 측면에서 충청만 패싱 한다는 느낌을 받는다”고 말했다.
충북도가 활주로 건설을 추진하는 이유는 청주공항 이용객이 계속 증가하고 있어서다. 2022년 317만4649명이던 이용객 수는 2023년 369만5996명, 2024년 457만9221명으로 증가 추세다. 올해는 500만명을 예상한다. 충북도 관계자는 “공군과 활주로를 나눠 쓰다 보니, 민항기 운항 편성에 어려움이 따른다”며 “3200m짜리 새 활주로가 생기면 운항 편수와 미주·유럽 노선을 확대할 수 있다”고 했다.
━
서산공항 2차례 연기…532억→484억 축소
우여곡절 끝에 추진 중인 충남 서산공항 건설도 여러 차례 난항을 겪은 사업이다. 서산공항은 서산시 해미면에 있는 공군 제20전투비행단 활주로를 활용, 인근에 여객 터미널·계류장·유도로·진입로를 개설하는 방식으로 건설한다. 484억원 들여 2028년 개항하는 게 목표다.
이 사업은 과거 국토부 심의 결과 비용대비 편익(B/C) 값이 1.32로 경제성이 충분하다고 도출됐지만, 2020년 예타 대상에 포함되지 못하면서 추진이 한 차례 미뤄졌다. 2021년 11월에는 예타 대상으로 선정돼 한국개발연구원(KDI)으로부터 조사를 받았지만, 2023년 5월 ‘부적격’ 판정을 받아 또 한 번 사업 추진이 연기됐다.
결국 충남도는 총사업비를 532억 원에서 484억 원으로 조정해 서산공항에 대한 예타를 피하는 방안을 택했다.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반영된 서산공항 건설사업 예산은 11억원이다. 이완섭 서산시장은 “서산공항은 여의도 4배에 해당하는 352만평의 넓은 부지를 가지고 있어 조금만 투자하면 국제공항이 된다”며 “단순한 지방공항이 아닌 충청권 연계 교통의 핵심 거점으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