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왕고래 프로젝트’로 알려진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사업이 해외 투자자들의 입찰로 중단 위기를 일단 벗어나게 됐다. 이번 입찰에는 브리티시 페트롤리엄(BP) 등도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석유공사는 21일 “동해 해상광구 투자유치(지분참여) 입찰에 복수의 외국계 업체들이 참여했다”고 밝혔다. 앞서 석유공사는 지난 3월부터 이달 19일까지 울릉분지 내 4개 해저광구(8NE, 8/6-1W, 6-1E, 6-1S) 약 2만58㎢에 대한 석유ㆍ가스 개발 사업을 추진할 업체를 국내외에서 모집했다. 이들 4개 광구에는 대왕고래 등 유망구조 7곳이 포함돼 있다.
이번 입찰에는 일정 규모 이상의 석유ㆍ가스 생산 실정을 보유한 대형 에너지 기업이거나 석유공사와 과거 협업 이력이 있는 기업만 입찰에 참여할 수 있다. 석유 공사에 따르면 이 조건을 만족하는 해외 업체 2곳 이상이 이번 사업에 입찰 제안을 했다. 업계에서는 BP가 입찰 제안서를 낸 것으로 전해졌다. 이밖에 미국 엑손모빌도 참여 가능성이 큰 업체로 거론된다.
석유공사는 향후 입찰 평가 및 입찰 제안서에 대한 검토를 거친 후 우선협상 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우선협상 대상자는 세부 계약조건 등에 대한 협상을 거쳐 조광권 계약을 맺게 된다. 입찰에서 선정된 업체는 이번 사업에서 최대 49%까지 지분 투자를 할 수 있다. 만약 조광권 계약이 성사되면 동해 심해전 가스 개발 프로젝트는 명맥을 이을 수 있게 된다.
동해 심해 가스전 프로젝트는 정치적 논란 끝에 올해와 내년 모두 예산이 편성되지 않으며 사업 중단 위기에 처해있었다. 석유공사는 앞서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1차 시추를 했지만 경제성 있는 가스전을 개발할 정도의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한 후 시추가 중단된 상태다. 해외 투자사가 확정되면 이 기업이 자금을 대는 것 말고도 2차 탐사시추 위치 선정 등 탐사와 생산 시설 구축 등 전 과정을 주도할 전망이다.
한편 석유공사는 일명 ‘대왕고래’로 알려진 유망 구조에 대해서는 정밀 분석한 결과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최종 확인했다. 7개 유망구조 중 하나인 대왕고래는 8광구와 6-1광구 북부에 걸쳐 동서 방향으로 길게 형성돼있다. 지난해 6월 윤석열 전 대통령은 동해 울릉분지 내 대왕고래 등에 최대 140억 배럴의 석유ㆍ가스 자원이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발표하며 관심을 받아왔다.
석유공사는 지난 2월 대왕고래 구조 시추를 통해 취득한 시료에 대해 미국 지질구조분석업체인 코어 래보라토리스를 통해 6개월 간 정밀 분석을 진행해왔다. 해당 분석 결과에 대해서는 사암층과 덮개암 등 지하구조는 양호한 결과를 받았지만, 회수가능한 가스를 발견하지 못했다. 당초 50~70%대를 예상한 가스포화도는 실제 정밀 검사 결과 6.3%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가스포화도는 유전ㆍ가스전의 상업성을 좌우하는 핵심 지표이다. 석유공사는 “향후 대왕고래 구조에 대한 추가적인 탐사는 추진할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