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15차례 종식 뒤 또 살아났다…치사율 90% '이 병' 벌써 31명 사망

중앙일보

2025.09.21 01:08 2025.09.21 17:22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방호복을 착용한 의료진이 콩고민주공화국 베니의 에볼라 치료센터에서 근무 교대를 준비하고 있다. AP=연합뉴스
2010년대 서아프리카에서 1만1000여 명의 사망자를 낳았던 에볼라가 콩고민주공화국(민주콩고)에서 다시 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다. 보름 만에 사망자가 빠르게 늘면서 보건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18일(현지시간)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은 제네바에서 연 화상회의에서 “민주콩고 정부가 발병을 선언한 지 2주가 지났고, 지금까지 확진·의심 사례 48건이 보고됐으며 이 가운데 31명이 숨졌다”고 밝혔다.

WHO는 전체 사례 가운데 38건이 확진이라고 설명했다. 발병 중심지인 남부 카사이주불라페 지역 에볼라 치료센터에는 현재 15명이 입원해 있고, 2명은 퇴원했다. WHO는 불라페에 760회분의 백신을 공급해 의료진과 밀접 접촉자 500여 명에게 접종을 마쳤으며, 조만간 수도 킨샤사에도 4500회분을 추가 공급할 예정이다.

콩고민주공화국 고마에서 한 환자에게 접종하기 위해 에볼라 백신 주사기를 준비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민주콩고 보건부는 지난달 고열과 구토 증세를 보인 34세 임신부가 자이르형 에볼라에 감염된 사실을 확인하고, 지난 4일 발병을 공식 선언했다. 자이르형은 치사율이 최대 90%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잠복기를 거쳐 두통과 발열,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어 피부 발진이 심해지다 피부가 벗겨지고, 피부와 점막에서 출혈이 발생한다.

민주콩고는 에볼라 발병의 원천지다. 1976년 에볼라강 인근에서 첫 발병이 보고된 뒤, 지금까지 15차례 종식을 선언했으나 반복적으로 재발했다. 2018~2020년에는 2000여 명이 숨졌고, 2022년에도 재차 발병해 6명이 사망했다. 이번은 16번째 발병 사례다.



배재성([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