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로컬 프리즘] 충남 댐 건설과 ‘방사능 괴담’

중앙일보

2025.09.21 08:12 2025.09.21 13:22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김방현 대전총국장
충남도가 추진하는 댐 건설을 놓고 논란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일부 주민과 단체가 반대하는 데다 이재명 정부도 댐 건설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정치 문제로 비화할 조짐마저 보인다.

충남은 물 부족에 시달린다. 충남 전 지역에서 사용하는 용수의 80% 이상은 대전·충북에 걸쳐 있는 대청댐에 의존하고 있다. 청양은 하루 생활용수 중 6000㎥(60%)를 보령댐에서, 2000㎥(20%)를 대청댐에서 받고 있다. 보령댐은 저수율이 늘 바닥이다. 부여군은 하루 2만9000㎥의 물을 모두 대청댐에서 공급받는다. 충남은 반도체 등 첨단산업 중심지여서 앞으로 물이 더 필요하다.

충남도는 금강 지류(支流)인 지천(청양·부여)에 소규모 다목적댐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지천댐은 지역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할 유일한 대안”이라고 했다. 지천댐 예상 저수 용량은 5900만㎥로, 하루 11만t(38만 명 사용)을 공급할 수 있다.

충남 부여·청양 지천댐 건설을 찬성하는 주민들이 청양군 장평면 지천 일대에서 집회를 열고 댐 건설을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파격적인 지원 방안도 내놨다. 충남도는 댐 건설로 영향을 받는 지역에 1000억원을 쓰겠다고 했다. 이 돈으로 산업단지, 대규모 실버타운, 대형 리조트 등을 만들 수 있다. 여기다가 정부 지원 예산도 800억원이 넘는다. 여론조사에서도 댐 건설 찬성 의견이 훨씬 많았다. 주민들은 “여름철에 되풀이하는 물난리를 막기 위해서라도 댐이 필요하다”고 한다.

반면에 일부 단체, 민주당 등은 반대하고 있다. 환경부 장관도 “물은 흘러야 한다”며 부정적이다. 환경단체는 “댐을 만들면 수질이 오염되고 환경이 파괴된다”고 한다. 그런데 필자가 지천을 가보니 ‘청정’과는 거리가 멀었다. 하천물에 부유물이 많고 혼탁해 오염된 상태임을 대번에 알 수 있었다. 차라리 댐을 지으면 물관리가 될 것 같은 생각이 들었다.

환경 파괴 주장도 공감이 가지 않는다. 지천 상류에는 대규모 골프장 공사가 한창이다. 환경을 지키려면 골프장 건설부터 막아야 할 것 같다.

지천댐 반대 세력은 대안으로 해수담수화를 거론한다. 이재명 대통령도 지난달 30일 강릉을 찾아 해수담수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그런데 해수담수화 시설을 만들어도 환경 파괴는 불가피하다. 또 담수화 시설비는 댐보다 3~4배 든다. 해수담수화 시설은 부산에서 실패한 경험이 있다. 부산시는 2014년 기장군에 1954억원을 들여 이 시설을 만들었다. 식수를 공급할 목적이었다. 하지만 환경단체 등이 “삼중수소·세슘 등 방사성 물질이 들어갈 수가 있다”고 반발하자 공업용수만 공급하기로 했다.

기장 해수담수화 시설이 이렇게 된 데는 ‘후쿠시마 괴담’도 한몫했다. 괴담 유포에는 시민단체와 민주당도 가담했다. 강릉 가뭄 사태로 수자원을 확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현실은 갈 길이 멀어 보인다.





김방현([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