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유엔 총회가 열리는 뉴욕을 방문하는 이란 외교관들에 대해 코스트코 등 도매 매장 이용을 사실상 금지했다.
22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미국 국무부 외교공관사무국은 이란 외교관이 도매 매장에서 회원권을 갖고 사치품이나 자동차를 구매하는 경우 국무부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외교관에게 부여되는 특혜로 간주되는 행위라는 이유에서다.
국무부는 “이란 국민이 빈곤과 전력·식수 부족 등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정권 엘리트들이 뉴욕에서 흥청망청 쇼핑하도록 두지 않겠다”고 설명했다. 외교관들의 이동도 유엔 본부 구역 내 공식 업무 수행에 필요한 범위로 엄격히 제한된다.
이번 조치는 이란에만 적용되며, AP통신은 적용 기간이 영구적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이란 외교관과 가족은 미국 내 코스트코, 샘스클럽, BJ’s 등 모든 도매 매장에서 상품을 구매하기 전 반드시 국무부 승인을 받아야 한다. 국무부는 사치품 기준으로 1000달러 이상, 차량은 6만 달러 이상을 설정했다.
클리프턴 시그로브스외교공관사무국 국장은 “사치품에는 핸드백, 의류, 장신구, 전자·가전제품, 와인, 담배 등이 포함된다”고 밝혔다. 이 같은 조치는 도매 매장을 통해 이란으로 반출 가능한 고가·대량 상품 구매를 제한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이번 제한은 트럼프 행정부의 비자 규제 강화 정책의 일환으로, 유엔 총회 고위급 회기 시작에 맞춰 이뤄졌다. 행정부는 이미 팔레스타인, 수단, 짐바브웨, 브라질 대표단에 대한 비자 발급 제한을 검토한 바 있다.
국무부는 “미국인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며, 이란 정권이 테러 의제를 홍보하기 위해 뉴욕을 활보하지 못하게 하겠다”며 “이번 조치는 미국이 이란 국민과 함께하며 정권에 책임을 묻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지난 19일 이란 핵 프로그램 관련 제재 종료를 유지하는 결의안을 부결했으며, 이란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와의 협조 중단을 선언했다. 마수드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은 23일 뉴욕 도착 후 24일 총회에서 연설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