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이 23일 미국의 글로벌 제약사 일라이릴리와 3억3000만달러(약 4600억원) 규모 공장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지난 7월 미국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 인수 입찰에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고 발표한지 2달만이다. 셀트리온은 ‘메이드 인 USA’ 전략을 통해 트럼프발 관세 리스크를 해소하겠다는 계획이다.
셀트리온이 인수한 공장은 미국 뉴저지주 브랜치버그에 있는 바이오 의약품 생산 공장이다. 약 15만㎡(4만5000평) 규모 부지에 생산시설, 물류창고, 기술지원동, 운영동 등 총 4개 건물을 갖고 있으며 증설을 위한 유휴 부지(3만6000㎡, 약 1만1000평 규모)도 보유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공장 인수 대금을 포함한 초기 운영비 등으로 총 7000억원 규모 투자를 집행할 예정이다. 유휴 부지에도 7000억원 이상의 추가 예산을 투입해 설비를 구축할 계획이다. 공장 인수와 증설에만 최소 1조4000억원의 자본이 투입되는 셈이다.
인수 주체는 셀트리온 미국법인으로 관련 절차는 연말까지 종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회사 측은 “현지 생산 거점을 확보하며 제품 생산부터 판매까지 의약품 생산 전 과정에 걸친 원스톱 공급망을 미국 시장에 갖추게 됐다”며 “물류비를 절감하고, 현지 기업에 위탁생산(CMO)하던 것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직접 제품을 생산하게 돼 미국 내 제품 경쟁력이 강화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
서정진 “1조5000억원 절감 효과”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이날 온라인 간담회에서 “불확실성을 전제로 경영하면 사업 전략을 세울 수 없다. 미국이 주력 시장인 기업이 관세를 피하는 방법은 ‘메이드 인 USA’ 하는 것”이라며 “이번 인수로 관세와 관련한 불확실성을 없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부 추산 결과 관세 리스크 해소, 신규 공장 건설 비용 절감, 생산 가능 시설 확보, 인력 확보 등을 통해 1조5000억원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최근 미국 조지아주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와 관련해서는 “현지 인력을 100% 승계할 예정이고 국내 파견 인력은 대부분 주재원 비자(E2)로 갈 예정이라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공장의 절반은 위탁생산(CMO) 계약에 따라 일라이릴리 제품을 생산하고, 셀트리온의 제품은 2027년부터 생산 예정”이라며 “현지 생산 제품은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연내 결정하겠다”고 덧붙였다.
━
美 향하는 K바이오
셀트리온뿐 아니라 미국 정부의 의약품 품목 관세 발표를 앞두고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은 관세리스크 해소를 위해 현지 생산기지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달 GC(녹십자홀딩스)의 미국 자회사인 메이드 사이언티픽은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턴에 본사를 꾸리고 연면적 5570㎡ 규모 의약품 제조시설을 개소했다. 차바이오텍의 미국 자회사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는 현재 미국 텍사스주 칼리지스테이션에 500리터(L) 규모 세포·유전자 치료제(CGT) 생산공장을 운영 중이며 2년 내 제2공장을 증설해 생산능력을 2000리터로 확대 예정이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지난 2022년 브리스톨마이어스스퀴브(BMS)의 미국 시러큐스 공장을 인수하며 북미 생산 거점을 확보했다. SK그룹의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계열사인 SK팜테코도 지난 2023년 미국 CGT 기업인 CBM을 인수하며 현지 공장을 확보했다.
제약·바이오업계 관계자는 “관세 리스크와 시장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글로벌 제약사와 생산 계약 체결에서 강점을 발휘하기 위해 미국에 공장을 확보하는 것”이라며 “현지 생산거점을 구축하려는 국내 기업들이 더 많아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