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같은 문제를 겪는 모든 국가가 함께 머리를 맞대는 ‘다자주의적 협력’을 이어갈 때 평화와 번영의 밝은 미래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여전히 2억8000만명의 인구가 극심한 기아 상태에 놓여 있으며 우크라이나와 중동에서는 무력 분쟁이 이어지고 있다”며 이같이 촉구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국민주권정부는 집단지성의 힘으로 더 나은 대안을 찾아내는 혁신을 시도하고 있다”며 “국제사회의 과제도 해법은 다르지 않다. ‘더 많은 민주주의’에 답이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어려운 시기일수록 유엔의 기본 정신으로 돌아가야 한다”며 “더 협력하고, 더 신뢰하고, 더 굳게 손잡아야 한다.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다자주의적 협력의 길에 대한민국이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보호무역주의와 고립주의가 강화되는 국제적 흐름 속에서도 다자적 해법이 필요하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또한 이 대통령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도 변화된 국제환경을 반영해 비상임이사국을 확대하길 희망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내외국인 모두가 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으로서 삶의 모든 현장에서 존중받도록 제도와 문화를 발전시키려 한다”고 언급해 최근 미국 조지아주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 등 국경 간 이동과 비자 문제를 의식한 발언으로 해석됐다.
이 대통령은 “사이버 공격이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시대”라며 “우리는 보이는 적을 넘어 보이지 않는 적과 맞서야 한다”고 인공지능(AI) 기반 안보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AI시대의 변화에 수동적으로 끌려다닌다면 양극화와 불평등 심화라는 디스토피아를 맞이할 것”이라면서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한다면 혁신과 번영의 토대를 세우고 직접 민주주의를 강화하는 기반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음 달 경주에서 열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APEC AI 이니셔티브’를 통한 AI 미래 비전을 공유하고자 한다”며 “‘모두를 위한 AI’가 국제사회의 뉴노멀로 자리 잡도록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해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재생에너지 비중을 확대하면서 에너지 대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 안에 책임감 있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도 제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빈곤 퇴치 문제와 관련해서는 “글로벌 거버넌스를 구조적으로 개혁해야 한다”며 “‘원조받던 나라’에서 ‘원조하는 나라’로 도약한 대한민국의 사례가 더 나오도록 힘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