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오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 만나 한반도 평화 정책에 대한 협조와 지원을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는 국제사회 전체의 평화안보와도 연계되어 있다”며 “갈등과 대립을 넘어 대화와 협력의 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유엔이 지원해 달라”고 말했다. 이에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유엔은 한국 정부와 연대와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한국 정부의 대북 정책은 현명한 접근이며, 적극적으로 지지·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이날 제80차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한반도 평화 문제의 해법으로 ‘교류(Exchange), 관계 정상화(Normalization), 비핵화(Denuclearization)’를 골자로 하는 ‘END 이니셔티브’를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또 “국제사회의 대립과 갈등이 심화되면서 분쟁으로까지 확대되는 상황에서 유엔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역량 있는 우리 인재들의 국제기구 진출이 더욱 확대될 수 있도록 사무총장이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국제사회가 분열된 상황에서 한국 정부가 유엔에서 지혜롭고 균형 잡힌 목소리를 내면서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며 “인도지원,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SDGs) 달성, 인권, 가자 및 우크라이나 등 주요 현안 대응에서 한국이 신뢰받는 파트너”라고 화답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우즈베키스탄·체코 대통령과도 차례로 정상회담을 가졌다.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이 대통령은 “풍부한 광물자원과 역내 최대 인구를 바탕으로 높은 성장 잠재력을 지닌 우즈베키스탄과, 우수한 기술력을 지닌 우리나라 간 경제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양국이 교통·인프라를 비롯해 핵심광물 등 공급망 분야에서 실질 협력을 확대해 나간다면 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페트르파벨 체코 대통령과의 회담에선 “올해가 한·체코 수교 35주년이자 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립 10주년이 되는 뜻깊은 해로서, 그간 양국 관계가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루어 온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양국 간 협력이 원전을 넘어서 반도체, 전기차, 방산 등으로 확대되어 호혜적으로 발전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파벨 대통령은 지난 6월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건설 최종 계약이 체결된 것을 거론하며 “기회가 되면 방한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화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