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불법 소액결제 범행에 활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초소형 기지국(펨토셀) 관리 부실을 공식 인정했다. 정부는 복제폰 생성 가능성을 포함해 해킹 여부를 면밀히 조사하고, KT의 은폐 정황이 확인될 경우 경찰 수사 의뢰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김영섭 KT 대표는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가 개최한 KT·롯데카드 해킹 사태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사고 이후 펨토셀이 망에 붙지 못하게 차단했으며, 관리 실태를 점검한 결과 허점이 많았다"고 시인했다. 펨토셀 관리·설치를 외주업체에 맡겼느냐는 질의에는 "그렇다"고 답하며 관리 부실 책임을 인정했다.
KT는 당초 ARS 인증을 중심으로 피해를 조사했지만, 국회의 지적에 따라 SMS 등 전체 인증 방식을 포함한 피해 규모 분석으로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분석에 시간이 걸려 단계적으로 진행하는 것"이라며 "모든 인증 수단에 대해 파악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황정아 의원(더불어민주당)은 김 대표에게 대표직 사퇴 책임을 요구했으나, 김 대표는 "현재로서는 사태 해결이 우선"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은 "KT가 인증키 등 주요 개인정보 유출은 없었다고 하지만 복제폰 위험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민관 합동 조사단이 KT 발표에만 의존하지 않고 철저히 확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KT의 서버 폐기 의혹, 신고 지연 등 고의성이 확인되면 "필요시 경찰 수사를 의뢰하는 등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