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캐나다 중앙은행 총재 "헤지 수단으로서 달러 매력 약화돼"

연합뉴스

2025.09.23 23:2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캐나다 중앙은행 총재 "헤지 수단으로서 달러 매력 약화돼"

(서울=연합뉴스) 황정우 기자 = 캐나다 중앙은행 총재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독립성에 대한 우려가 미국 달러화의 헤지 수단으로서의 매력을 약화시켰다고 지적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티프 맥클렘 캐나다은행 총재는 23일(현지시간) 캐나다 서스캐처원주에서 한 연설과 기자회견에서 달러화가 당분간 글로벌 준비통화 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연준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거듭된 공격은 보다 광범위한 금융 시장에 미치는 파급효과 때문에 우려"라고 언급했다.
그는 미국 무역정책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달러화 가치가 약 10% 하락한 반면 금 가격은 40% 상승했다고 말했다.
시장이 불안할 때 전통적으로 투자자들은 안전망으로 달러 자산에 몰려갔고 이는 달러화 가치 상승과 미국 국채 금리 하락으로 이어졌지만, 이런 양상이 변하고 있다는 것이다.
맥클렘 총재는 기자회견에서 "달러화의 헤지 수단으로서의 가치는 더 이상 있지 않을 수도 있거나 과거만큼 신뢰할 만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외국 투자자들이 달러화 노출에 헤지 비중을 늘리면서 달러화에 하락 압력을 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 모든 것이 연준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위협과 관련이 있다고 말하는 건 아니다"라면서도 "하지만 일부 영향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그런 차원에서 이에 대해 말할 때가 됐다"고 했다.

앞서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외국 투자자들이 달러화 헤지(위험 분산)를 서두르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온 바 있다.
최근 파이낸셜타임스(FT)는 도이치뱅크 분석을 인용해 지난 3개월간 해외에 등록된 미국 주식 상장지수펀드(FT)에 약 70억달러(약 9조7천억원)가 유입됐는데 이중 약 80%가 달러화 헤지 ETF에 몰렸다. 연초에는 이 비중이 약 20%에 그쳤다.
또 미국 주식과 채권 투자에서 달러화 헤지 투자가 4년 만에 처음으로 달러화 노출 투자 규모를 넘어섰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달러화에 미칠 영향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FT는 해석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황정우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