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단독] 있다는 충전소도 없고…서울시, 170억 전기 오토바이 보조금에도 보급률은 저조

중앙일보

2025.09.25 00:29 2025.09.25 01:08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서울 서초구 사도감 어린이 공원에 위치한 공유배터리스테이션(전기이륜차 오토바이 교환식 배터리). 중앙포토

서울 강서구에 거주하는 자영업자 40대 A씨는 환경 문제를 고려해 전기 이륜차(오토바이)를 구입하고자 했으나 포기했다. “추천하지 않는다”는 주변 지인 때문이다. A씨는 “전기 오토바이를 운행하는 주변 지인이 배터리 교환소를 찾느라 고생한다고 하더라”며 “환경도 중요하지만, 배달에 지장이 있어서는 안 되지 않겠냐”고 말했다.


서울시가 친환경과 소음 문제 해소 등을 이유로 추진한 배달용 전기 이륜차(오토바이) 사업이 미비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윤종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지난 8월까지 배달용 전기 오토바이 9016대가 보급됐다. 당초 보급 목표치(3만5000대)의 25.7%에 그친 수준이었다.

김주원 기자

서울시는 지난 5년 동안(2021~2025년 8월) 전기 오토바이 보급을 위해 170억4800만원을 사용했지만 이처럼 보급률은 저조했다. 그 이유로는 열악한 인프라가 꼽힌다. 업계에 따르면 전기 오토바이는 주행거리가 50km에 불과해, 하루 평균 3차례 배터리를 교환해야 한다. 충전에 4~6시간이 소요돼 배터리 교환소가 필수다.

서울시는 지난 8월 기준 충전교환소 894기가 설치됐다고 밝혔다. 올해까지 3000기를 설치하겠다 공언했지만, 목표치의 29.7%에 그친 것이다. 전기 오토바이 이용자 최모(35)씨는 “충전교환소가 부족하다보니, 완충된 배터리가 없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말했다.

김주원 기자
또 서울시가 국회에 보고한 것과 달리 실제 충전교환소가 설치되지 않은 곳도 여럿 드러났다. 실제 충전교환소가 설치됐다는 영등포구의 한 편의점을 찾았으나 충전교환소는 없었다. 해당 편의점 관계자는 “처음 듣는 이야기”라고 했다. 구로구의 한 편의점 관계자도 “충전교환소를 찾으러 온 배달 기사가 있었지만, ‘없다’고 돌려보냈다”고 했다.


충전교환소가 특정 지역에 편중된 점도 문제다. 강남구 127기, 서초구 77기, 송파구 51기 등 강남 3구에 충전교환소 28.5%가 집중됐다. 반면 용산 12기, 도봉 9기, 종로 9기 등 강북 지역에는 대체로 충전교환소 설치가 적었다.


윤종군 더불어민주당 의원. 뉴스1
윤 의원은 “단순히 보급 대수만 늘리는 보여주기식 정책으로 서울시의 오토바이 보급 정책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이라며 “시민과 배달 종사자들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충전 인프라 확충과 안전성 확보, 유지관리 체계 강화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했다.



이찬규([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