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입국 3000만 시대 연다"…정부, 관광혁신 3대 전략 발표

중앙일보

2025.09.25 00:53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김민석 국무총리가 25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관광공사 하이커그라운드를 방문해 K팝 댄스 공연을 관람하는 어린이들과 함께 미소를 짓고 있다. 뉴스1

정부가 27일 ‘관광의 날’을 앞두고 외래 관광객 3000만 명 시대를 목표로 한 ‘관광혁신 3대 전략’을 내놨다. K컬처의 세계적 인기를 계기로 한국을 글로벌 관광대국으로 도약시키겠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25일 서울 중구 한국관광공사 하이커그라운드에서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제10차 국가관광전략회의’를 열고 ▶방한 관광(인바운드) 혁신 ▶국내관광 혁신 ▶정책·산업 기반 혁신 등 세 가지 방향을 제시했다. 회의에는 13개 부처 장·차관을 비롯해 관광업계와 민간 전문가 등 약 70명이 참석했다.

김 총리는 이날 “올해는 특히 아시아태평양경제협의체(APEC) 정상회의가 경주에서 개최되는 만큼, 세계에 한국의 문화와 예술, 콘텐트의 힘을 널리 알릴 수 있는 호기”라며 “이재명 정부는 K콘텐트 문화관광산업을 미래 핵심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실질적 성과로 이어가도록 범정부 논의와 민간 협의를 활성화하겠다”라고 밝혔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25일 서울 중구 한국관광공사 서울센터에서 열린 제10차 국가관광전략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는 우선 인바운드 시장 확대를 위해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 ‘제2·제3의 관광권’을 조성한다. 의료·웰니스·마이스(MICE) 관광 등 고부가가치 분야를 집중 육성하고, 한류 공연장과 체험시설, 케이푸드 관광 상품 등 K-컬처 연계 관광 생태계를 강화한다. 외국인 편의를 위해 전자여행허가제(K-ETA) 한시 면제를 연장하고, 외래객 전용 관광패스를 내년부터 선보인다.

국내관광 활성화를 위해서는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방문 시 경비의 절반을 상품권으로 환급하는 ‘반값여행’을 확대하고, 연박·섬 숙박 할인권 등을 신설한다. 관광취약계층을 위한 무장애 여행 인프라 조성과 ‘핫스팟 가이드(가칭)’ 발간 등 지역 매력을 홍보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또한 70~80년대에 제정된 관광 관련 법제를 전면 개편해 ‘관광산업법’과 ‘지역관광발전법’ 신설을 검토하고, 관광특구 제도와 문화관광축제 지정 방식도 손질한다. 아울러 관광개발 보조금을 포괄보조금으로 전환해 지자체 자율성을 강화하고, 민간과 협력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형 관광개발도 추진한다.

정부는 “우리 업계, 내외국인 관광객들이 느끼는 숙박, 교통, 결제 등 고질적인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범부처적인 노력을 기울여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는 구글의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중앙일보가 만든 AI 시스템의 도움을 받아 작성했습니다.

조문규([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