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기업, 4∼9월 액면분할 12년만에 최다…"개인 투자 유도"
닛케이 "소매·외식 등 내수업종서 활발…주식 최저 투자액 인하 필요"
(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일본 상장기업의 주식 액면분할 건수가 올해 4∼9월 124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약 20% 늘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2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과거 4∼9월과 비교했을 경우 12년 만에 가장 많은 수준이다.
액면분할은 주식의 액면가를 일정 비율로 낮추고, 그만큼 유통 주식 수를 늘리는 조치다.
일본에서 주식 최저 투자액은 1주 가격에 '매매 단위' 100주를 곱한 금액이다.
따라서 주식 가격이 비싸면 개인이 투자하기 쉽지 않다. 유니클로 모회사 패스트리테일링 주가는 이날 오전 11시 30분 기준 4만5천650엔(약 43만원)으로, 이 회사 주식을 사려면 최소 456만5천엔(약 4천300만원)이 필요하다.
이에 도쿄증권거래소는 지난 4월 기업을 상대로 주식 최저 투자액이 10만엔(약 94만원) 수준으로 낮춰질 수 있도록 독려한 바 있다.
일본 주식 최저 투자액은 전날 기준으로 평균 20만엔(약 188만원) 정도였다. 그나마 10년 전과 비교하면 4만엔(약 38만원)가량 낮아졌다.
닛케이는 액면분할 건수 증가 요인과 관련해 "개인이 주식을 적은 금액으로 살 수 있게 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해설했다.
이어 "소매, 외식 등 내수 업종에서 액면분할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며 액면분할 발표일에 최저 투자액이 50만엔(약 471만원)을 넘은 고액 주식이 대상이 된 사례가 많다고 전했다.
닛케이는 '저축에서 투자로'라는 흐름을 이어가려면 주식 매매 단위 재검토를 포함한 최저 투자액 인하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박상현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