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비와 식비 등 생활 전반의 물가가 급등하면서 뉴요커들의 지출 부담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교통비 부담 또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컬럼비아대와 지역 비영리단체 로빈후드 연구 그룹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뉴욕시 빈곤층 가구는 소득의 9%를 교통비로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은 소득의 4%, 중산층 이상은 소득의 2%를 교통비로 지출한다고 응답했다.
보고서는 보충빈곤측정(Supplemental Poverty Measure·SPM) 지표를 기준으로 소득 구간을 나눴다. 2023년 기준 뉴욕시에서 임대주택에 거주하는 4인 가구의 SPM 빈곤선은 연소득 4만7190달러였으며, 이 금액 이하를 빈곤층으로, 200%인 9만4380달러 이하를 저소득층으로, 그 이상을 중산층 이상으로 분류했다.
기본 생활비 상승은 교통수단 이용 빈도와 직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빈곤층과 저소득층의 절반 이상(55%)은 식비나 주거비 등 기본 생활비 상승으로 인해 교통수단을 활용한 이동을 줄인다고 응답했다.
중산층 이상도 예외는 아니었다. 중산층 이상 44%도 교통비 절감을 위해 이동을 줄인 것으로 파악됐다.
대중교통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계층별로 달랐다. 중산층 이상 65%가 낮에 대중교통 이용 시 안전하다고 느낀 반면 빈곤층은 그 비율이 46%, 저소득층은 48%였다.
또 2017년부터 수집된 데이터에 따르면, 뉴욕 시민들은 전철·버스·통근열차·주유비·주차비·통행료를 포함한 교통비로 연간 약 1900달러를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