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탄불=연합뉴스) 김동호 특파원 = 이란은 자국에 대한 유엔 제재 복원을 이틀 앞둔 26일(현지시간)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대한 협력을 중단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무장관은 텔레그램 성명에서 지난 9일 이란이 IAEA의 핵사찰 재개에 합의한 것과 관련해 "이는 이미 폐기된 유엔 안전보장보장이사회 결의의 복원 등 이란에 대한 적대적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유효하다"고 밝혔다.
이어 "그렇지 않을 경우 이란은 실질적인 절차를 마치겠다"고 말했다.
아락치 장관은 2015년 체결된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의 서명 당사국인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유럽 3개국(E3)이 지난달 28일 JCPOA에 명시된 '스냅백' 절차를 발동한 것에 대해 "법적 근거가 없는 파괴적 행위"라고 비난했다.
또 "2018년 JCPOA 참여를 일방적으로 중단한 것은 이란이 아닌 미국"이라며 "이 일로 E3는 향후 외교 과정에서 배제되고 이 짧은 기회를 놓치면 서아시아(중동) 지역과 국제 체제에 파괴적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엔 안보리가 E3의 스냅백 발동을 통보받은 지 30일을 넘기는 이달 28일을 기해 제재가 발효된다. 이란은 2018년 미국이 일방적으로 파기한 JCPOA에 근거해 제재를 복원하는 것이 부당하다는 입장이다.
유엔 안보리는 지난 19일 이란에 대한 제재 종료를 유지하는 결의안을 부결했다. 중국과 러시아가 제재 부과 종료를 6개월 연장하는 결의안을 제안해 이날 표결될 예정이지만 통과될 가능성은 작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동호
저작권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