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화병원, 자산운용사와 투자협약 암세포 정밀 타격하는 방사선 치료 진단부터 휴양까지 체류형 의료시설 “지역 기반 첨단 암 병원으로 도약”
중입자 치료는 암세포만 정밀하게 파괴하는 차세대 방사선 치료다. 빛에 가까운 속도로 가속해 만든 탄소 이온 에너지빔을 암세포에 조사해 사멸하는 원리다. 무거운 탄소 입자가 암세포에 도달하는 순간 강력한 에너지가 종양에 집중된다. 이 과정에서 정상 조직은 거의 손상되지 않는다. 치료 횟수가 짧고, 통증과 부작용도 적어 회복이 빠르다. 이론상 혈액암을 제외한 대부분의 고형암에 적용할 수 있다.
그동안 일본·독일 등 해외에 의존해 왔던 중입자 치료가 국내에서도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했다. 2023년 세브란스병원이 국내 최초로 중입자 치료기를 가동한 데 이어 중소병원으로는 처음으로 남촌의료재단 시화병원이 중입자 치료 도입에 나섰다.
━
중소병원 주도로 중입자 치료 추진
최근 시화병원은 외국계 자산운용사인 인마크자산운용과 총 사업비 5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중입자연구소와 의료관광호텔 등을 포함한 융복합 의료관광 사업을 추진하기로 한 것. 중입자치료센터는 시화병원이 위탁 운영하고, 인마크는 인프라 투자와 시설 개발을 맡는다.
시화병원 최병철 이사장은 “연내 지자체와 실시협약을 체결하고, 2026년 건축 설계와 인허가를 거쳐 2027년 착공, 2030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진단, 치료, 회복, 휴양이 연계된 체류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중입자 치료는 ‘꿈의 암 치료’로 불릴 만큼 획기적인 기술이다. 하지만 이번 사업은 단순한 기술 도입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의료와 관광 산업을 아우르는 새로운 의료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 주요 목표다. 최 이사장은 “중입자연구소를 중심으로 의료관광호텔, 국제진료센터, 성형·피부 클리닉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 융합형 의료관광 모델을 만들 예정”이라고 말했다. 외국인 환자의 장기 체류 수요까지 고려한 설계다.
시화병원은 현재 연간 11만 명의 외국인 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몽골·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국가와 협력해 의료관광 네트워크를 꾸준히 확대해 왔다. 최 이사장은 “의료관광 역량을 기반으로 향후 연간 외국인 환자 1만 명 추가 유치와 1억6000만 달러(약 2200억원) 규모의 의료관광 수익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
의료관광 수익 연 2200억원 목표
의료관광 수익은 지역 필수의료에 재투자된다. 중입자치료센터가 안착하면 수도권 서남부 지역의 내국인 암 환자도 고난도 치료 기회를 받을 수 있다. 시화병원은 이번 사업을 통해 지역 의료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최 이사장은 “시화병원은 고난도 진료와 공공성을 결합한 미국 메이요 클리닉을 롤모델로 삼아 지역의 첨단 암 치료기관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세우고 있다”며 “중입자 치료를 기반으로 한 의료복합단지를 만들어 지역 사회와 함께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물론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다. 의료관광호텔 제도는 마련된 상태지만, 실제 운영 사례는 없다. 중입자 치료도 건강보험 수가 체계가 없어 고비용 구조가 한계로 지적된다. 시화병원과 인마크는 민간 선투자를 통해 실적을 확보하고, 정부·지자체와 협력해 제도 기반 마련에 나설 방침이다. 최 이사장은 “당초 사업지는 인천 송도였지만 인허가 협상이 지연되면서 시흥 본원 인근으로 방향이 전환됐다”며 “시화병원은 사업이 순조롭게 추진될 수 있도록 지역 내 필수의료를 강화하고, 의료관광으로 재정적 지속성을 확보하는 데 전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